“폭염에 우편물도 멈췄다”…우체국, 배송 지연 공식 안내
전국적인 기록적 폭염이 우편물 배송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정부 우정사업본부는 9일, 지속되는 폭염의 여파로 일부 지역에서 우편물과 소포 배송이 평소보다 지연될 수 있음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물류 인프라의 디지털화가 진행된 지금도 기후 변수에 따른 배송 시스템 차질이 현실화된 셈이다.
이번 조치는 집배원 및 소포위탁배달원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은 결과다. 우정사업본부는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낮 12시부터 16시까지 자가 진단과 휴식시간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폭염 특보 시에는 현장 배달 업무를 일시 정지해 인력을 보호할 계획이다. 특히 긴급 및 시한성 우편물이 우선 처리 대상이 되며, 비상 상황에는 배송 일정이 대폭 탄력적으로 조정된다.

배달 업계에도 IoT, 빅데이터, 스마트 트래킹 등 디지털 기술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기상 악화와 현장 인력 건강 위협 앞에서는 기술만으로 대응에 한계가 드러난다. 우정사업본부는 우편물 이동 현황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 등에서 실시간 제공해 고객의 불편 해소에 주력하고 있다. 문자메시지 등도 활용해 배달 지연 정보를 신속 공지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 저하를 최소화하려는 전략이 병행된다.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도 유사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은 폭염·폭설 등 기상이변에 따라 배송 품질 저하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예고하며, 배송 일정 조정이나 무인 배송 기술 등 대응책을 다각화한다. 국내에서도 생활물류 서비스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재난 환경 속 배송 안정망 확보가 점차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사물인터넷 기반 작업환경 모니터링, 자동화 차량 지원 등 ICT 융합 솔루션을 점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예측 불가한 극한 기상 상황에서는 자동화와 인간 안전 사이의 균형 조정이 필요하다”며, “근로자 보호가 서비스 품질 유지를 위한 핵심 조건”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실제 고객 신뢰 악화 우려를 의식하며, 고지 강화와 실시간 정보 제공, 안전 고려 배송 시스템 업그레이드 필요성을 지속 제기하고 있다. 기술, 인프라 혁신과 현장 안전 관리의 동반 강화가 물류 서비스 미래 경쟁력의 전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