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광복절 경축사, 한일 미래 협력·남북 대화 의지 강조”…이재명, 정상외교 앞두고 국민통합 메시지 고심
정치

“광복절 경축사, 한일 미래 협력·남북 대화 의지 강조”…이재명, 정상외교 앞두고 국민통합 메시지 고심

권하영 기자
입력

한일, 한미 연쇄 정상회담을 앞둔 이재명 대통령이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외교·안보 메시지 수위를 고심하고 있다. 광복절 경축식과 함께 취임식을 갈음하는 국민임명식이 열릴 예정이라 이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에도 관심이 집중됐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광복절 당일 오전 경축식과 저녁 국민임명식에 각각 내놓을 메시지를 조율 중이다. 역대 광복절 경축사는 한일관계와 남북관계에 대한 정부 인식을 드러내는 발언무대로, 이번 이재명 대통령의 경축사 또한 국내외 이목이 쏠리는 상황이다. 이미 일본과의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어 이전보다 한층 무게감이 실렸다.

정상회담을 앞둔 일본에 대해 이 대통령이 강경 발언보다는 미래지향적 관계 개선을 강조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이어진다. 대통령실은 과거사에는 원칙적으로 대응하면서도 경제·안보 분야 협력 강화라는 '투트랙'을 추진한다는 기조를 재차 강조했다. 동시에 한미 정상회담과 연계한 한미일 공조 역시 주요 메시지가 될 전망이다.

 

남북관계에 있어서는 대화 의지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2일 국무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대북 확성기 철거 문제를 언급하며 "이런 상호적 조치를 통해 남북 간의 대화와 소통이 조금씩 열려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나 같은 날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확성기들을 철거한 적이 없으며 철거할 의향도 없다"고 강경 발언하면서, 이 대통령의 메시지 수위에도 변화 가능성이 점쳐졌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대통령은 언제나 '값비싼 평화라도 전쟁이나 긴장보다 낫다'고 말씀하셨다"며 대화 기조에는 변함이 없다고 못 박았다.

 

한편, 국민임명식은 실질적으로 이재명 정부의 공식 출발 선언이자 국정 비전의 출발점으로 상징성을 갖는다. 국정기획위원회의 5개년 계획 발표, 추가 내각 인선 완료 등이 맞물리며 분위기 정비가 이뤄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께 민주주의 수호에 대한 감사와 국민주권 정부의 원칙을 재천명하고, 경제 구조 혁신과 지역 균형 발전을 통해 모두가 잘 사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힐 것으로 관측된다.

 

정치권에서는 최근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 사면·복권 문제로 야권 반발이 거세지면서 국민 통합 메시지의 무게도 커졌다.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오세훈 서울시장 등 야권 인사들이 건강상 이유나 조 전 대표 사면에 대한 항의로 일제히 불참 뜻을 밝혔다. 특히 국민의힘은 특별검사팀의 중앙당사 압수수색 등으로 격앙된 가운데 '이재명 정부의 통합 의지 부족'을 거론하며 공세에 나설 조짐이다. 이에 이 대통령은 여야 간 긴장 속에서도 적극적 설득과 통합 메시지를 준비 중이라는 전언이다.

 

강유정 대변인은 "불법 계엄과 내란을 극복하고 국민주권 정부가 탄생한 것을 국민 스스로 축하하고 대통령을 임명하는 자리인 만큼, 축제에 모두가 함께하는 데 의의가 더 크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이날 광복절을 기점으로 한일·한미 연쇄 정상외교와 내각 출범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

권하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광복절#한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