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강버스 운항 열흘 만에 잠정 중단”…오세훈 시장, 잦은 고장에 공식 사과

윤찬우 기자
입력

최근 한강버스가 운항 열흘 만에 잦은 기술적 결함으로 인해 잠정 중단되며 시민 안전에 대한 우려와 서울시의 책임론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신규 대중교통 서비스의 안정성 검증이 부족한 상황에서 촉발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서울시의 한강버스 사업 추진 방향에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9월 18일 정식 취항한 한강버스는 방향타 고장 등 세 차례에 걸친 기술 결함을 겪었고, 결국 28일을 기점으로 운항을 멈추기로 결정했다. 서울시는 29일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무승객 시범운항 체제로 전환한다”며 “향후 한 달간 추가 데이터 수집과 성능 개선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추석 연휴에 가족과 한강버스 체험을 계획한 분들께 송구하다”면서 이날 시민들에게 고개를 숙였다.

한강버스 / 연합뉴스
한강버스 / 연합뉴스

운항 중단이 공식화되자 서울시는 신속히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점검에 들어갔다. 제조·운영업체와 협력해 원인을 파악하고, 안정적 재개를 위한 정비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도 “테스트 과정을 철저히 거쳐 시민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시는 열흘간의 한강버스 시범운항에서 높은 승선율 등 성과도 부각하며 사업성에 대한 기대를 거두지 않았다.

 

그럼에도 시민 불편과 불만이 적지 않다. 일부 시민들은 “잇따른 고장과 서비스 중단이 너무 잦다”며 실망감을 나타냈다. 정치권의 비판도 이어졌다.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안전 검증 없이 무리하게 운항을 강행했다”고 지적했고, 전현희 민주당 수석 최고위원은 “한강버스도 세금만 축내는 졸속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신규 교통수단의 도입 효과도 중요하지만, 충분한 안전성 검증과 시민 신뢰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교통정책 연구원은 “기술 기반 서비스의 시장 정착을 위해선 시범운영 기간의 데이터 확보 및 투명한 정보 공개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무승객 시범운항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비와 품질 개선을 완료한 뒤 정식 운항을 재개할 방침이다.

 

이번 한강버스 논란은 공공기관의 신사업 추진 과정에서 안전성 확보와 책임 있는 대응의 중요성을 다시 환기했다. 향후 서울시의 보완 대책과 서비스 개선 효과가 주목된다. 시장에서는 시민 신뢰 회복과 한강버스의 재운항 시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찬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오세훈#한강버스#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