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알래스카 가스전 투자 불가”…김정관, 국회서 대미 사업 기준 부각

이소민 기자
입력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송유관 건설 사업의 사업성이 도마에 올랐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6일 국회에서 “하이 리스크”라며 해당 사업을 대미 투자 대열에 포함시키지 않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하면서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됐다.

 

김정관 장관은 이날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장에서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의 질의에 대해 “대미 투자의 기준인 상업적 합리성은 현금 흐름이 창출될 수 있는 프로젝트에 한정돼 있다”며 “저희 기준에는 알래스카 가스전은 들어오기 쉽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대미 투자 항목에서 벗어난다고 봐도 되는가’라는 추가 질의에는 “현재는 그렇다”고 못 박았다.

다만 김 장관은 “알래스카 가스전의 경우 국내 자체적으로 가스 안보 다변화 필요성이 있다”며 “구매 관련 내용은 나중에 프로젝트가 진전되면 국내 기업이나 정부도 관심을 갖고 지켜볼 수 있다”고 언급해, 장기적으로 사업성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접근하겠다는 시사도 내비쳤다.

 

한편, 최근 미국에서 무더기로 한국인 구금 사태가 발생하며 쟁점으로 떠오른 취업 비자 문제에 대해 김 장관은 “미국 상무부와 명확히 논의하고 있다”며 “조만간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현지 상황과 한미 정부 간 조율 결과에 재계와 교민 사회의 관심이 쏠린다.

 

정치권에서는 김정관 장관 발언을 두고 국내 에너지 안보와 해외투자 전략이 맞물린 현안으로 바라보며, 산업통상자원부의 신중 기조를 주목하고 있다. 여당은 “국익 중심의 투자 전략을 견지한 적절한 판단”이라 평가한 반면, 일부 야당 의원은 “에너지 확보와 투자 다변화에 국제적 시야 확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했다.

 

이날 국회는 알래스카 가스전 사업성을 둘러싸고 정책적 해법을 촉구하는 등 치열한 질의가 이어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향후 현안 사업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 함께 한미 간 비자 이슈 해결을 위해 지속 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이소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정관#알래스카가스전#미국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