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남원, 고전 속을 거닌다”…광한루·춘향테마파크서 만나는 낭만 여행
추운 겨울과 푸르른 여름이 교차하는 길목, 고전의 숨결이 깃든 남원을 찾는 여행객이 늘었다. 누군가의 옛 사랑처럼, 남원에서의 하루는 예상보다 오래 마음에 머문다.
남원에 발을 디디면 제일 먼저 맞이하는 건 지리산의 넓은 품과 섬진강이 흐르는 고요함이다. 광한루원에서 시작해 춘향테마파크, 조경 농원을 정원으로 바꾼 아담원, 그리고 지리산허브밸리까지. 남원만의 풍경과 역사 이야기가 차례로 펼쳐진다.

맑은 하늘 아래에서도 여전한 늦더위는 광한루원 연못의 오작교와 푸른 나무 그늘 아래 평화로운 산책을 부른다. 남원의 상징인 광한루원은 조선시대 대표 누원으로, 소설 ‘춘향전’뿐 아니라 판소리와도 닿아 있다. 사계절마다 달라지는 누정의 모습에 여행객들은 “내가 고전 소설 주인공이 된 기분”이라고 감상을 고백했다. 실제로, 넓은 연못 위 영주각과 방장정, 봉래정의 풍경을 배경으로 사진을 남기는 사람들이 많다.
이런 변화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최근 한국관광공사 지역 방문 통계에 따르면, 광한루원을 찾는 사계 절 방문객이 꾸준히 늘고 있다. 각종 SNS에서도 한옥 건물과 오작교, 연못을 배경 삼은 인증샷이 잇따르며, “춘향전의 낭만을 현실에서 만난다”는 후기가 이어진다.
춘향테마파크와 아담원, 지리산허브밸리 역시 방문자들의 힐링 명소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특히 춘향테마파크는 전통 가옥과 산책로, 다채로운 체험공간 덕분에 “작은 드라마 속에 들어온 듯하다”고 표현하는 이들이 많았다. 조경 농원을 정원으로 꾸민 아담원에선 푸른 자연과 꽃, 나무 사이를 천천히 거니는 것만으로도 마음 한구석이 채워진다는 체험담이 전해진다.
관광업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여행에 대해 “도심을 떠나 고전의 낭만과 자연이 어울린 공간에서 자신만의 쉼을 찾는 흐름”이라 평한다. “남원의 여행길은 단순한 경치감상이나 유명 관광지 방문이 아니라, 고요한 호흡과 자신의 감정을 돌아보는 여정에 가깝다”고 진단했다.
댓글 반응도 흥미롭다. 남원 관련 온라인 공간에는 “가을로 접어드는 남원을 거닐면 마치 옛날로 시간여행을 온 것 같다”, “고즈넉한 분위기에서 가족, 친구와 도란도란 걸은 추억이 오래 남는다”는 이야기들이 잇따른다.
크고 대단한 이벤트가 아니어도, 남원의 산책길과 옛 정취는 오늘도 누군가의 마음을 위로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좋았다”, “자연을 바라보며 숨을 고른 그 한 시간이 힐링이었다”는 말처럼, 삶의 리듬을 잠시 천천히 돌리는 일상 속 여행의 의미가 커지는 순간이다.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분주한 일상에 자연스럽게 고전을 심는 여행, 그 길의 끝에는 어쩌면 나다운 하루가 기다릴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