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속한 한미정상회담 제안”…위성락, 미 국무장관과 현안 합의 공감대
한미 통상과 안보 이슈를 둘러싼 양국의 긴장감 속에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워싱턴에서 마주했다. 조속한 정상회담 추진 요청과 미 측의 공감 표시로 외교 협상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지 주목되고 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의 대중 관세 부과 압박과 관련해 한미 간 고위급 소통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이번 협의 결과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위성락 실장은 9일 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 직후 공식 브리핑에서 "미국 측에 조속한 시일 내 한미정상회담을 해 제반 현안에서 상호 호혜적인 합의를 만들어 나가자는 제안을 했고, 루비오 국무장관이 이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한미가 처한 관세와 투자, 안보 문제 등 통상 전반 사안을 한 패키지로 묶어 협의를 진행하자고 요청했다는 설명이다.

위 실장은 "신정부 출범 이후 우리 정부가 한 달 남짓한 기간에 현안 해소를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국 간 이견이 남아 있으나, 동맹 관계 발전과 신뢰 강화라는 큰 틀에서 협의 타결에 힘을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편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보낸 상호관세 부과 서한에 대해 "7월 9일 관세 협상 시한을 앞둔 상황에서 무역 합의가 안 된 국가 모두에 일률적으로 전달된 것"이라며, "8월 1일 전까지 합의 기회가 충분하니, 그 기간 동안 한미가 긴밀히 소통해 나가자"고 밝혔다고 위 실장은 전했다.
이번 방미에서 위 실장은 관세·비관세 장벽, 투자, 구매, 안보 등 패키지 현안 협의를 미측에 제안했다. 미국 측은 해당 패키지 접근에 이해와 공감을 표했으며, 협상 테이블에서 실질적 진전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선 미중 통상 압박이 한층 거세진 시기 한미 정상 간 신속한 만남 필요성에 여야 모두 공감대를 보이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상호 신뢰 강화와 이익의 균형이 관건”이라고 분석한다.
국가안보실과 미 국무부는 향후 관세 협상과 투자 조건을 중심으로 추가 협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협의를 발판 삼아 한미 동맹의 신뢰 기반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