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대폭 확대”…김민석 총리, RE100 산단 신속 추진과 온실가스 감축 의지 강조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전환과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두고 김민석 국무총리가 속도를 내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둘러싼 국제적 압박이 고조되는 가운데, 핵심 정책 책임자가 구체적 실행 의지를 직접 밝혔다. 에너지 전환이 향후 한국 경제와 사회의 구조적 지형에 미칠 파장을 두고 각계의 목소리가 분분하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8월 22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주최한 '2025 탄소중립·녹색성장 글로벌 협력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정부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하고,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전용 산업단지를 신속히 조성하려 한다"고 발언했다. 김 총리는 "산불, 폭염, 폭우 등 자연재해가 극심해지고 있고,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는 경제에도 큰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한민국 새 정부는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 대전환을 이뤄 탄소중립과 경제성장을 함께 달성할 계획을 발표했다"며, "대한민국 전역을 연결하는 에너지 고속도로가 탈탄소 기술과 신산업 발달을 촉진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한국이 그린뉴딜 공적개발원조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그린 ODA(공적개발원조)'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현황도 언급했다. 김 총리는 "대한민국은 녹색 전환을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올해 11월 브라질에서 열릴 제30차 유엔 기후변화총회와 관련, "대한민국 정부도 도전적이고 실현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마련 중"이라고 밝혀, 구체적 대응 계획 수립에 돌입한 사실을 알렸다.
정치권과 산업계 일각에서는 정부가 제시한 에너지 대전환 및 RE100 산단 조성이 현실화될 경우 산업구조, 투자심리, 에너지 가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긍정과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상향함과 동시에, 기업의 재생에너지 접근성을 보장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편 환경단체에서는 목표 수립과 더불어 이행 방안, 감시체계 구비를 주문하고 있다.
김 총리는 행사 개회식에 앞서 브라질, 이탈리아, 말레이시아, 튀르키예 등 25개국의 주한대사들과 환담을 갖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준비상황과 국제 협력 강화 방침을 공유했다. 이후 국내 기후테크 기업 홍보부스를 찾아 기업인들을 격려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와 혁신기술 동향 파악에도 주력했다. 이날 행사 현장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2035년 국가 감축목표(NDC), 청정에너지 협력 등 주요 의제에 대한 발표와 논의가 이어졌다.
이날 국회와 정부는 탄소중립 정책 이행을 위한 구체적 목표와 실천전략을 두고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정부는 향후 유엔 기후변화총회 일정에 맞춰 실현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제출과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