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슈퍼컴퓨터로 위스콘신 재편”…미국, MS 73억 달러 투자에 지역 반향
국제

“AI 슈퍼컴퓨터로 위스콘신 재편”…미국, MS 73억 달러 투자에 지역 반향

윤선우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18일, 미국(USA) 위스콘신(Wisconsin)주 레이신 카운티에서 글로벌 IT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가 총 73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건립에 나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인공지능(AI) 인프라 수요 확대에 따라, MS는 두 번째 대규모 데이터센터에만 4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한다. 미국은 이번 조치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에너지 전환에 이중 효과를 기대하게 됐다.

 

MS는 지난해 밝힌 첫 번째 데이터센터(33억 달러)가 내년 개장을 앞둔 가운데, 추가시설에는 엔비디아(Nvidia) 고성능 칩 수십만 개가 투입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한편, 고용 창출도 가속한다. 두 데이터센터가 모두 완공되면 약 800명의 현지 일자리가 확보된다.

‘마이크로소프트’, 美 위스콘신에 40억 달러 투자…두 번째 데이터센터 건설
‘마이크로소프트’, 美 위스콘신에 40억 달러 투자…두 번째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의 상세 내용에는 전력 인프라 선지급, 위스콘신 저온 기후를 활용한 냉각 효율화, 연간 물 사용 최소화 등 친환경적 요소가 포함됐다. 브래드 스미스 MS 사장은 신규 화석연료 발전소도 프로젝트 범위에 들어간다고 밝혔으며, 인근에는 250메가와트 규모 태양광 발전소도 들어설 계획이다. 완공된 데이터센터 두 곳에서만 900메가와트 이상의 전기를 소모할 전망이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최신 슈퍼컴퓨터 대비 10배 이상 성능으로 AI 학습과 추론을 혁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내에서는 클라우드 및 AI 경쟁 본격화를 반영하는 대형 투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투자를 “기술 중심지로의 위스콘신 재발견 신호탄”이라고 조명했다.

 

미국(USA)뿐 아니라 영국(UK) 등도 최근 대형 데이터센터·AI 인프라 확장에 나서면서, 글로벌 IT·에너지·반도체 섹터에 연쇄적 수요 파장이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AI·클라우드 주도권을 잡기 위한 미-중 첨단 기술 충돌의 연장선상”에서 이번 투자의 전략적 가치를 분석하고 있다.

 

업계는 증가하는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가 향후 에너지 체계와 지역 경제에 복합적 부담과 기회를 안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사회와 시장은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 움직임이 새로운 산업지형을 어떻게 바꿀지 주목하고 있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마이크로소프트#ai#위스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