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모바일 AI와 접는 폰의 진화”…삼성, 폴드7·플립7로 시장 재편 예고
IT/바이오

“모바일 AI와 접는 폰의 진화”…삼성, 폴드7·플립7로 시장 재편 예고

김서준 기자
입력

삼성전자가 2025년형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7과 플립7을 선보이며, 모바일 AI 기술과 하드웨어 혁신의 결합으로 스마트폰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갤럭시 언팩 2025 현장에서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은 “갤럭시 Z 폴드7과 플립7은 혁신의 정점”이라면서 “AI가 강력한 모바일 기술과 결합할 때 완전히 새로운 시장 기회의 시대가 열린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번 제품군 발표가 모바일 산업의 ‘AI 경쟁’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폴드7과 플립7에 최신 인공지능 플랫폼 ‘갤럭시 AI’를 대거 탑재했다. 갤럭시 AI는 텍스트 이해를 넘어 멀티모달(복합 입력) 방식으로 진화해, 음성·영상·이미지·텍스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처리함으로써 사용 경험을 강화한다. 추가로 폴더블 하드웨어는 구조·부품·소재를 일신해, 기존 대비 최소 두께와 향상된 내구성, 신규 칩셋(플립7의 엑시노스 2500 등) 적용으로 퍼포먼스와 전력 효율 모두 개선됐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AI 기반 기능이 일상 활용도를 높인다. 삼성은 구글과 협력해 ‘제미나이’와 같은 AI 모드를 지원, 구글 서클투서치와 음성 비서 등 다양한 기능이 기본 탑재된다. 대형 폴드 화면은 구글 제미나이의 공동 작업·컨텐츠 소비 때 최적화됐고, 플랩형 폰 역시 경량·초박형 디자인으로 접근성을 높였다. 관전 포인트는 “이제 폴더블이 바 타입(일반형) 스마트폰의 경험까지 넘어서는가”라는 점이다.

 

이번 신제품은 세계 최대 스마트폰 플래그십 구도 속에서, 애플 등 글로벌 경쟁사들과의 전략적 차별화도 강조된다. 하드웨어·AI·서비스 융합의 고도화와 더불어,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 책정과 독립칩(엑시노스) 탑재 등으로 부품 네트워크 리스크 대응에도 주력했다. 한편 구글 역시 삼성과의 AI 협업을 “글로벌 모바일 혁신의 실험장”으로 규정, 미국과 아시아 주요국 정식 출시에 맞춰 AI 모드 확장 적용을 강조했다.

 

국내외 정책 환경에서는 스마트폰 내 AI 기능의 개인정보 보호, 데이터 처분권, 클라우드 전송 과정의 보안 등 디지털 이용자 권리 이슈가 부각된다. 국내 산업계는 세계 시장 AI 경쟁력 격차 해소를 위해 하드웨어 표준화와 응용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 글로벌 플랫폼 파트너십 확대가 병행돼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 시장 전문가들은 “모바일 AI와 접는 폰이 결합할수록 사용자 일상이 크게 달라진다”며 “갤럭시 Z 폴드7·플립7의 상용화가 스마트폰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새로운 기술이 실제 시장 주도권 확보로 이어질지에 주목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전자#갤럭시폴드7#제미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