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3국은 ‘한중일’ 순”…이재명, 실용 외교 기조 속 표기 원상복구
동북아 삼국의 표기 순서를 둘러싸고 대통령실과 전임 정부가 맞붙었다. 표기 방식 조정은 양국관계의 미묘한 균형과 직결된 만큼, 정치권의 해석과 외교 정책 기조 변화가 맞물려 이번 조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16일 동북아 3국의 공식 표기 순서를 ‘한중일’로 통일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윤석열 전임 정부 아래에서는 ‘한중일’과 ‘한일중’이 혼용돼 왔으나 정부가 이를 원상복구, 중국을 일본보다 앞서는 위치에 두기로 한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동북아 3국 표기를 ‘한중일’로 통일해 사용하기로 했다”며 “가장 많이 쓰이는 표기를 일원화해 불필요한 논란을 없애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무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에서 표기 혼용이 이어지며 “어느 나라와 더 가깝나”라는 소모적 논쟁이 확대됐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로 동북아 3국 정상회의체에서는 개최 순번(일본-중국-한국)에 따라 ‘한일중 정상회의’ 표현을 사용하긴 했지만, 대다수에서는 한중일 표기가 일반적이었다는 것이 대통령실 내 설명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재임기였던 2023년 9월, 아세안 정상회의를 계기로 정부는 공식적으로 ‘한일중’ 표기를 쓰기 시작했다. 그때 대통령실은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바탕으로 미국, 일본과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어 ‘한중일’ 대신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조치가 대중 유화와 대일 견제를 동시에 염두에 둔 실용 외교의 단면이라는 해석도 대통령실 안팎에서 제기된다. 외교 전문가들은 “전임 정부가 일본에 치우친 외교 기조로 실리를 잃었다”는 비판과 함께, “이재명 대통령의 기조는 실사구시 외교에 방점을 두고 중국과의 관계도 중시하려는 의도”라고 평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일 경주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 “한중 관계를 전면적으로 회복하고,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 실용과 상생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어 14일에는 핵 추진 잠수함 도입 등 중국이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현안을 포함한 한미 관세·안보 협상 공동 설명자료를 발표하며 “중국과 꾸준한 대화를 통해 양국 관계 발전의 길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외교의 핵심은 균형”이라며 “전임 정부는 이념 외교에 치우쳐 일본 중심으로 지나치게 기울어진 측면이 있어 이를 원상회복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향후 ‘한중일’ 표기 일원화가 한중 관계 복원의 신호탄이자, 대일 외교의 균형추로 자리 잡을지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실용주의 외교 기조를 유지하며 주요 현안을 둘러싼 동북아 외교전에서 균형을 모색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