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슬레이트 오토 저가 전기 픽업 혁신”…美 신생기업 전략, 완성차업계 도전→시장 판도변화
자동차

“슬레이트 오토 저가 전기 픽업 혁신”…美 신생기업 전략, 완성차업계 도전→시장 판도변화

윤지안 기자
입력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슬레이트 오토가 전기 픽업트럭 시장에서 이례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투자를 받은 이 기업은 실용성과 맞춤형 제조, 저가 전략을 바탕으로 미국 자동차 시장의 새로운 지형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최근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슬레이트 오토가 단순함과 합리적 가격을 겸비한 전기 픽업트럭 전략으로 완성차업계에 혁신의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슬레이트 오토는 ‘슬레이트’라는 명칭의 전기 픽업트럭을 이르면 내년 미국 시장에 2만 달러 중반대라는 파격적 가격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해당 차량은 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등 필수 안전사양만 적용하고, 대형 터치스크린이나 고가 인포테인먼트는 과감히 생략했다. 그런 만큼 모듈형 구조와 52.7kWh의 SK온 배터리를 적용, 1회 충전 주행거리 150마일(241km)이라는 실용적 성능을 확보했다. 2도어 2인승 모델을 기본으로 하지만, 어퍼바디 교체로 5인승 SUV 혹은 상용차로 확장 가능하도록 플랫폼 설계가 이뤄졌다는 점도 차별점이다. 온라인 상에서 다양한 개조 아이디어가 활발하게 공유되면서, 이미 사전 계약수가 10만 건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슬레이트 오토 저가 전기 픽업 혁신
슬레이트 오토 저가 전기 픽업 혁신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슬레이트 오토가 전기차 가격 인상 압력이 고조된 시장 환경에서 저비용 구조와 ‘메이드 인 USA’를 전면에 내세운 전략은 기존 대형 완성차업체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지적했다. 전기차 업계는 고가 프리미엄화를 통한 수익성 확보에 주력해 왔으나, 공정 단순화·모듈러 설계·맞춤형 하드웨어로 차별화한 슬레이트 오토의 전략은 제조사 및 소비자 모두에게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인플레이션감축법의 세액공제 종료 가능성, 스타트업의 양산 및 수익성 확보 미경험 등 한계 역시 잠재적 변수로 지적된다.

 

보고서는 “슬레이트 오토는 복잡함보다 단순함, 하이테크보다 친숙함을 앞세워 전기차 시장의 고전적 트렌드에 반기를 들었다”며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은 이들의 도전적 전략을 주목해야 하며, 미래 시장에서 실용성·개인화·비용절감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시장 관계자들은 독창적 가치 제안을 현실화하는 슬레이트 오토 사례가 향후 전기 픽업 시장의 지각변동을 예고한다고 내다봤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슬레이트오토#전기픽업#sk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