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대통령실 ‘7070’ 발신자, 윤석열 시인”…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채상병 사건 외압 우려 인정
정치

“대통령실 ‘7070’ 발신자, 윤석열 시인”…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채상병 사건 외압 우려 인정

허준호 기자
입력

채상병 사건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다시 격화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통화 사실이 순직해병특별검사팀 조사에서 공식 확인되며, 대통령실 ‘02-800-7070’ 발신자가 윤 전 대통령임이 약 2년 만에 드러났다. 이로써 수사 외압 논란의 중심이던 발신자 실명이 밝혀지며 정국이 긴장 국면에 빠졌다.

 

21일 이종섭 전 장관 측은 채상병 사건 수사에서 불거진 ‘VIP 격노설’과 관련해 “대통령께서 2023년 7월 31일 군 조직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특검에 제출한 의견서를 통해 전했다. 이에 대해 “안보실 회의 직후 채상병 사건에 대한 대통령의 전화를 받았다”며 “군 조직을 걱정하는 대통령의 우려라 기억된다”고 설명했다. 

이 전 장관은 “떳떳하지 못한 통화였다면 보다 구체적인 기억이 남았을 것이나, 통상적 소통이었기에 구체적 내용은 기억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도, “격노나 특정인 혐의자 제외, 이첩 중단 같은 지시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대통령 통화 뒤 해병대사령관에게 사건 이첩 보류를 지시한 것은 신중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특검팀도 이 전 장관으로부터 이 같은 의견서를 공식 접수했다고 밝혔다. 정민영 특검보는 브리핑에서 “이 전 장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전화를 받았다는 점을 시인했다”며, “채상병 사건 수사 결과를 두고 양측이 통화한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대통령경호처 협조로 발신자 추가 확인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 전 장관의 진술에 따르면, 지난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54분 대통령실 ‘7070’ 번호로 2분 48초간 통화한 직후, 즉각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채상병 사건 이첩 보류 및 국회·언론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 몇 분 후에는 임 전 사단장의 정상 출근도 지시했다. 윤 전 대통령은 같은 날 대통령실 회의에서 사건 보고를 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냐”며 격한 반응을 보였던 상황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수사 외압 의혹’이 더욱 거세지는 양상이다. 여권은 사실관계 엄정 확인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야권에서는 대통령의 직접 개입 의혹을 핵심 쟁점으로 내세우며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미 지난 18일, 당시 회의 참석자였던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을 불러 2차 피의자 조사를 진행했다. 김 전 차장이 기존보다 구체적인 진술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특검은 대통령실 회의 문건 등 핵심 자료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당분간 채상병 사건 수사와 관련한 진상 공방은 이어질 전망이다. 순직해병특검팀은 이종섭 전 장관의 진술과 추가 자료 검증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치권은 대통령의 직접적 통화 및 사건 개입 여부를 두고 격렬한 논쟁을 이어가고 있으며, 정국은 ‘VIP 격노’ 논란의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종섭#윤석열#채상병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