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해 경위·책임 집중 추궁”…민주·혁신당, KT·롯데카드 해킹 사태 현장조사
대규모 해킹 사태를 둘러싼 책임 공방이 정치권 내에서 본격화됐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소속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들은 9월 19일 오후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본부를 방문해 KT·롯데카드 정보유출 사건 현장 조사에 나섰다. 정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 실무진도 함께 해, 전방위적으로 대응책을 논의하는 등 관련 현안이 정국에서 격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날 현장조사에서 의원들은 KT의 서버 침해 경위와 사측의 대응이 충분했는지, 정보보안 시스템에 허점이 없는지 집요하게 질문을 이어갔다. 소비자 피해 상황 보고와 더불어 늑장 대처·원격상담시스템 서버 폐기 의혹 등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해명이 요구됐다.

KT는 의원들의 질의에 "팸토셀 등 무선 장비에 대한 관리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며 "관리 시스템 문제를 사태의 시발점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진 질의응답 과정에서 현장에 참석한 최우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관, 이동근 KISA 본부장 등 실무자들은 피해 대응 및 추가 피해 방지 방안 마련을 약속했다.
이후 과방위 의원들은 종로구 롯데카드 사옥을 직접 찾아, 카드사에서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정황을 추가로 점검했다. 현장에는 국회 정무위원회 여당 간사인 강준현, 김남근 의원도 동행했다.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롯데카드 해킹 사고는 매우 심각한 사안"이라며 "특히 피해 고객 28명은 개인정보와 카드번호, 결제에 필요한 CVC 비밀번호 2자리까지 노출돼 부정 사용 우려가 커졌다. 실태 파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현 의원 역시 "통신사에 이어 카드사에서도 고객 정보가 유출돼 국민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며 "소비자 권리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과방위는 즉각 현장 조사를 마치고 오는 9월 24일 청문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KT 대표이사 김영섭 등 KT 관계자 3명,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등 롯데카드 관계자 2명, 롯데카드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 등이 증인으로 채택됐다.
정치권은 해킹 사태의 경위와 책임 소재, 정부·기업의 후속 대응 능력을 놓고 정면 충돌하는 양상이다. 국회는 청문회 등 추가 조사를 통해 소비자 피해 방지와 재발 방지책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