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한 우호 협력은 국민의 염원”…다이빙 중국대사, 이재명 대통령 반중 시위 언급에 긍정 평가
반중 시위를 둘러싸고 한국 정부와 중국 외교 라인이 민감하게 맞붙었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 이후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공개적으로 긍정 메시지를 전하며, 양국 관계에 새로운 파장이 일고 있다.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는 14일 소셜미디어 X를 통해 “한국 고위층이 중시하고 조치를 취하는 것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태도를 환영했다. 이어 “현재 국제 정세는 혼란이 얽혀 있으며, 중한 간의 우호 협력 강화는 양측의 이익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양국 국민의 공동 염원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소수 세력이 정치적 거짓말을 조작해 중국을 먹칠하는 것에 대해 중한 양국 국민 모두가 옳고 그름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고 믿는다”며, “이러한 문제가 조속히 해결되고, 중한 관계가 더욱 발전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2일 국무회의에서 “이주노동자와 외국인, 사회적 약자에 대한 부당한 차별이나 인권침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철저히 취하고, 필요하다면 제도적 보완책도 마련해달라”고 지시했다. 이어 “얼마 전에 보니까 대림동, 중국 외교공관 앞에서 표현의 자유를 넘어서는 욕설과 폭력이 난무하는 혐오 시위가 벌어졌다”며 “다양성과 포용성을 중시하는 민주주의 모범 국가라는 대한민국의 위상에 결코 걸맞지 않은 모습”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최근 주한중국대사관은 공관 인근에서 근거가 없는 중국의 한국 선거 개입설 등으로 촉발된 반중 시위가 이어지자, 한국 정부에 협조를 요청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등 강경한 입장이다. 이 사안을 두고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표현의 자유와 외교공관 보호, 혐오표현 대응 사이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한편 정치권과 외교가에서는 이번 발언을 계기로 한중 관계 복원이 탄력을 받을지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외국인 대상 차별 방지 및 외교적 신뢰 확보 방안 마련을 계속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