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생태계 키운다”…LG유플러스, 50억 펀드로 스타트업 협력 강화
IT/바이오

“AI 생태계 키운다”…LG유플러스, 50억 펀드로 스타트업 협력 강화

윤지안 기자
입력

AI 스타트업에 대한 전방위 지원이 IT 업계의 혁신 경쟁을 재편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블루포인트파트너스와 손잡고 50억 원 규모로 전용 펀드를 조성, 딥테크 기반 유망 인공지능(AI) 스타트업 4곳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LG유플러스의 AI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쉬프트(shift)’를 기반으로 하며, 단순 자금 지원을 넘어 기술·사업 검증, 실증(PoC), 사업화 등 성장 전 과정에 실질적 협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업계는 이번 프로젝트를 ‘AI 플랫폼 기반 경쟁의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쉬프트’ 프로그램을 출범, 미래 AI 기술을 주도할 초기 스타트업을 선별해 기술 실증에서 상용화, 투자와 글로벌 진출까지 전체 밸류체인에 걸친 밀착 지원을 약속해왔다. 이번 1기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은 구글 출신 전문가 중심의 실시간 사용자 정보 추출 기술 ‘페어리’, 소상공인 대상 영업·마케팅 AI 솔루션 ‘르몽’, AI 모델 재학습 자동화 기술 기업 ‘테크노매트릭스’, 생성형 AI 보안 솔루션 ‘에임인텔리전스’ 등이다. 각 사는 AI의 현장 적용성과 보안, 운영 자동화, 고객 맞춤화 등 첨단 분야에서 차별화된 기술 역량을 보유했다.

LG유플러스와 블루포인트파트너스의 협업은 스타트업에 직접적 재무·기술 지원을 제공하면서, AI 실증 단계와 사업 연계까지 연결해주는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으로 이어진다. 이 플랫폼은 기술 중심 검증과 상용화, 투자 중심 R&D, 국내외 네트워크 연계 등 스타트업 성장의 필수 인프라를 포괄한다. 글로벌 빅테크가 AI 생태계 주도권 확보에 나선 가운데, 국내 통신·IT 사업자의 AI 스타트업 육성 전략이 산업 생태계 전반 경쟁의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쉬프트 2기 선발을 공식화하며 투자 및 협력 대상을 확대한다. 정부·대기업·글로벌 파트너와의 연계를 통해 스타트업의 국내외 시장 진출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기술 검증과 사업화까지 지원 범위를 넓히는 것이 주요 전략이다. 전문가들은 LG유플러스 모델이 “대기업-스타트업 간 실질적 기술 협력 생태계 구축의 실험대가 될 것”으로 분석한다.

 

한편, 사업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위한 네트워크 연계, AI 기반 신사업 탐색 등이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을 통해 가속화될 전망이다. 데이터·AI 분야의 정책 환경과 비즈니스 모델 다양화가 맞물리면서, 대형 통신사의 조직적 자원도 스타트업 성장의 촉진제로 작용할 여지가 높다. 산업계는 이번 LG유플러스의 투자와 플랫폼화 전략이 국내 AI 스타트업 시장의 스케일업 생태계로 확장할지 주목하고 있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lg유플러스#쉬프트#ai스타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