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 신뢰로 푼다”…정부·의료계, 대화 복원 주목
전공의 복귀와 의학교육 정상화를 둘러싼 의정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는 “신뢰와 대화”를 해법으로 제시하며, 실질적 복귀 방안과 현장 지원 대책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7월 3일, 이재명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2학기에 의대생, 전공의가 복귀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언급했다. 이에 같은 날 의과대학교수협의회와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는 대통령의 신뢰·대화·타협 메시지에 공감 의사를 표명하며 공동 대응을 예고했다.

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실무 인사 임명을 통한 대화 채널 복원과 학생·전공의 복귀 준비책 마련을 정부에 공식 요청했다. “학교와 병원 시스템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교수진의 성명과 함께 실용적 의료정책 재정립 필요성도 제기됐다.
대한의사협회 역시 7월 4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신뢰 회복·대화는 핵심적 해법”이라며, 김택우 회장은 “수련 중단 전공의에 대한 실질적 지원과 의대 교육 인프라 축소계획의 철회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신속 임명도 주요 과제로 부상했다. 의협은 “후임 장관의 조속한 임명이 의료계와의 대화를 위한 관문”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여전히 정상화되지 않은 의학교육·전공의 수련 시스템에 대한 우려가 크다. 교수와 현장 의사들은 신진 의료인 양성을 위한 사회적 인식 전환과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를 재차 촉구하고 있다.
지난해 격화된 의정 갈등의 부작용으로, 장기기증 등 필수 의료 현장에서도 악영향이 나타나는 등 전공의 부족으로 인한 의료 시스템 저하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복지부 정책 전환과 의료계 내부 연대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하반기 의과대학과 수련병원 현장에서 전공의 및 의대생 복귀가 점진적으로 현실화될지 주목된다. 정부의 복귀 촉진 정책과 실무 교섭 결과가 실제 이행으로 이어질지 당분간 치열한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전공의 복귀 논의는 의료계 신뢰 회복의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의료계의 지속적 실천이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