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평화에너지벨트 주도”…김동연, 3대 평화경제전략 제시
정치적 해법과 경제 전략의 접점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평화에너지 프로젝트’ 등 한반도 평화경제 실현을 위한 3대 전략을 꺼내들었다.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을 맞은 19일, 경기도와 중앙정부·민간이 함께 마련한 기념식에서 김 지사는 “이재명 국민주권정부가 열어갈 한반도 평화 번영의 길을 경기도가 가장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해 정국의 관심이 집중됐다.
이날 경기도 파주 캠프 그리브스에서 진행된 기념식에서 김동연 지사는 첫 번째 전략으로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이 사업은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내용으로,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가 정부에 제안한 ‘DMZ 평화에너지벨트’ 구상과 맞닿아 있다. 김 지사는 “DMZ 내 솔라파크, 평화에너지벨트 등은 남북이 함께 에너지 자립 기반을 만들고, 북한 전력난 해소와 한국의 에너지 전환도 도모하는 현실적인 해법”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 평화경제 전략은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안에 ‘기후테크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방안이다. 경기도는 이곳에 기후테크 스타트업 및 유망기업을 집중 육성해, 경기북부를 기후경제의 선도 지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세 번째 전략은 범정부적 협의를 통한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가속화다. 김 지사는 “반환공여지 22곳에 주도성, 전향성, 지역 중심의 3대 원칙을 적용해 교통 인프라 확충과 규제 완화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9·19 평양공동선언이야말로 남북 교류 협력을 촉진하는 ‘경제 선언’이며, 9·19 군사합의는 군사 충돌을 방지하는 실질적인 ‘평화 선언’”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9·19 선언을 이정표 삼아 평화경제의 길을 열고, 긴장의 땅을 성장의 땅으로 만들어가자”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경기도의 전략이 남북 관계 개선의 실효적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선 에너지·경제 협력이 남북 긴장 완화와 지역 발전에 동시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가 형성되는 상황이다. 다만 보수 진영 일부에선 “정치적 접근에 앞서 안보와 실익이 충분히 고려돼야 한다”는 신중론을 내놓고 있다.
이날 기념식은 경기도, 통일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가 공동 주최했으며,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이 후원했다. 행사 현장에서는 9·19 정신을 계승한 남북 경제협력 방안의 구체적 실행 필요성도 강조됐다.
경기도는 평화경제 전략 추진을 위해 중앙정부, 국회, 민간단체와 긴밀히 협업하겠다는 방침이다. 향후 평화에너지 사업 등 구상에 대한 실증 사업 추진과 국비 지원 요청이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