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통합 명문화”…정동영·김관영, 1조 재정지원 등 상생방안 제시
전북 전주와 완주 행정통합 추진을 둘러싼 정치권의 합종연횡이 본격화했다. 더불어민주당 정동영·이성윤 의원, 김관영 전라북도지사, 우범기 전주시장이 21일 전북도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통합 필요성과 상생 방안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오는 9월 주민투표를 앞두고 통합 찬반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김관영 도지사는 "전주-완주 통합이 이뤄질 경우 행정 구역을 뛰어넘는 105개 상생방안을 법률에 명문화하겠다"면서, "구체적으로는 '통합시 설치법'에 이를 포함해 법적 효력을 갖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 지사는 "상생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평가위원회를 도지사 직속 기구로 꾸리고, 위원의 3분의 2를 완주 지역 인사로 위촉하겠다"고 약속했다.

통합 인센티브에 대해서도 상세히 언급했다. 김관영 지사는 "기존 교부세 총액의 6%에서 10%까지, 최대 15년간 1조 원 규모의 재정 지원을 정부와 협의해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정동영 의원은 "국회 국무위원 경험을 살려 행정안전부와 긴밀히 협의해 통합에 힘을 실을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피지컬 AI 시범 지역 선정과 맞물릴 경우 미래산업 육성 등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양측 모두 수도권 집중에 대응할 전라북도 성장의 전기를 마련하겠다는 취지를 재확인했다.
기자회견 현장에서는 통합 반대 단체와 완주군의회 일부 의원들이 고성을 지르며 항의하는 등 찬반 양측이 충돌했다. 이에 대해 정동영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존중하지만 질서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며 대화와 타협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한편, 여야 및 지역사회에서는 통합 법제화 약속과 재정 인센티브에 대한 실제 실현 가능성을 두고 엇갈린 시선이 이어지고 있다. 찬성 측은 "지방 경쟁력 확보를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입장인 반면, 반대 측은 "지역 균형 발전이 오히려 더 멀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전주-완주 통합 여부는 9월 시행되는 주민투표를 통해 최종 결정될 전망이다. 향후 정치권은 주민 여론을 주시하며 법적·재정적 후속 논의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