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낮 36도, 숨막히는 제천”…여름의 절정, 무더위와의 사투
요즘 제천 거리에서는 부쩍 얼음물과 양산, 그리고 선풍기를 든 사람들이 많아졌다. 한낮 기온이 36도까지 치솟으면서, ‘여름다운 여름’이란 말이 절로 나온다. 예전엔 에어컨 없이도 버텼던 곳들이었지만, 이제는 그마저도 숨 막히는 폭염 앞에 무력하게 느껴진다. 7월 9일 수요일, 제천 곳곳의 전광판에는 낮 기온이 36도를 가리키고, 연일 맑은 하늘이 모습을 보이면서 우산보단 모자와 선크림, 시원한 옷차림이 일상의 필수품이 됐다.
이런 변화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이번 주 제천은 온종일 비 소식 없이 고온 건조한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10일부터 12일까지 오전 최저기온은 19~21도, 오후 최고기온은 34도 안팎이 예보됐다. 더위가 한풀 꺾이는 듯 보이는 13일 일요일에도 낮 최고 31도, 구름만 많을 뿐 여전히 뜨거운 공기가 머문다. 강수 확률이 20%로 낮아 당분간 무더위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 전문가들은 “폭염이 이어질 때는 몸이 이미 더위에 적응해 있다고 생각해 무심코 위험을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장시간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물을 자주 마시며, 휴식을 충분히 취하는 것이 온열 질환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등 취약계층은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기자가 제천 시내를 둘러보니, 낮에는 한적했던 공원에 사람보다 새소리가 먼저 들려왔다. 오히려 도서관이나 대형마트 같은 실내 공간이 북적이는 느낌이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요즘은 점심 나갈 엄두도 못 낸다”, “집에서 창문 열어도 열기만 들어온다”는 공감 글이 이어졌다. 무더운 오후, 제철 과일로 수분을 보충하거나, 물에 손을 담그는 소소한 팁도 공유되고 있었다.
이처럼 ‘한낮 폭염’은 사람들의 여름 일상을 바꾸고 있다. 해가 바뀔수록 더위의 강도는 더 높아지고, 생활 패턴도 자연스럽게 달라졌다. 36도라는 숫자는 단순한 기온이 아니라, 나의 하루, 우리의 여름을 다시 그리게 한다. 작고 사소한 대비이지만, 이 작은 선택들이 결국 건강한 여름을 만드는 출발점이 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