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년 연장‧주 4.5일제 등 노동계 현안 청취”…정청래, 한국노총과 정책협의회 열어

조민석 기자
입력

정년 연장, 주 4.5일제, 노란봉투법 시행 등 노동 현안이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국노총 고위급 정책협의회에서 중심 의제로 부상했다. 29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 사무실에서 열린 이 회의는 추석을 앞두고 여야·노동계 간 긴장과 관심이 교차하는 가운데 마련됐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협의회에서 “노동계와의 소통을 강화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겠다”고 밝히며, 최근 부각된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도입 등 현안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 청취에 나섰다. 특히 앞서 국회를 통과한 노란봉투법(개정 노조법 2‧3조) 시행을 놓고 정부가 세부 지침을 준비 중이어서, 관련 쟁점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최근 더불어민주당은 외국인 투자기업의 국내 사업장 철수에 따른 노동자 보호 기제 강화에도 주목하고 있다. 정 대표는 지난 25일 당 외국인 투자기업 노동자 보호제도 개선 특위를 찾아 “기업 철수 시 노동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며 법적‧제도적 보완 필요성을 언급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올해 내내 노동 관련 입법, 정책조율을 선도해 왔으나, 정부와의 이견·노동계의 추가 요구 등 난제가 산적한 실정이다. 여권 일각에서는 “노란봉투법 시행령이 노동계 주장 일변도로 흐르면 갈등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노동계는 “정책협의회가 정년 연장·노조법 보완과 같은 구조적 개혁 논의로 이어져야 한다”며 환영 입장을 피력했고, 경영계는 ‘노동시장 유연화’ 등을 거듭 강조하며 각론에서 대치하는 모습이다.

 

정치권에서는 오는 총선, 대선 등 주요 선거를 앞두고 노동계 표심이 정국의 뇌관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과 현장 관계자들 또한 “정치권과 노동계가 중장기 플랜 속에 실질 해법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과 한국노총은 정기 정책협의를 이어가며 향후 구체적인 입법 및 정책 방안도 점검할 예정이다. 정국 내 노동 이슈가 다시 요동치고 있어, 실무적 대안 마련 과정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청래#더불어민주당#한국노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