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65세 정년 연장 논란 재점화”…정청래, 민주노총과 정책간담회서 입장 주목

윤지안 기자
입력

노동계와 정치권의 정년 연장 문제를 둘러싼 충돌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6일 서울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정책간담회를 열고, 노동계 최대 쟁점인 65세 정년 연장 문제를 포함해 각종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 민주노총과 정치권의 협상 과정이 본격화되면서, 관련 입법 움직임에도 탄력이 붙은 분위기다.

 

이날 간담회는 더불어민주당이 이미 지난 3일 정년연장특별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법적 정년을 65세로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올해 안에 처리하겠다는 강경한 의사 표명을 밝힌 이후 마련됐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노동계 요구를 충분히 경청하겠다"며, "합리적 입법 방안 도출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노총은 이번 간담회 전날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합동으로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년 65세 연내 입법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조속한 국회 처리와 법제화를 촉구했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정년 연장이 일자리 창출과 기업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당사자 퇴직 후 재고용을 대안으로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노동계의 숙원이지만 경제계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정책간담회가 정년 연장 법안 논의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이란 평가와 함께, 총선을 앞두고 각 진영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고령화 가속 사회에서 정년 연장은 불가피’하지만, ‘재원 마련 방안 등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국회는 정년 연장 이슈를 놓고 노동계와 경제계, 정치권이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며, 향후 관련 입법 논의에서 실질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민주당은 올해 내 법안 처리를 공식화한 만큼, 여야 협상과 사회적 대타협 움직임이 이어질 전망이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청래#민주노총#정년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