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예비경선 룰 대폭 손질”…국민의힘, 8·22 전대 당원투표·국민여론 50%씩 반영
정치

“예비경선 룰 대폭 손질”…국민의힘, 8·22 전대 당원투표·국민여론 50%씩 반영

정재원 기자
입력

당 경선을 둘러싼 룰 조정이 또다시 치열한 논란을 예고했다. 국민의힘이 8월 22일 예정된 전당대회 예비경선에서 책임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하기로 결정하면서 당내 세력 구도에 미묘한 변화가 일고 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는 23일, 국회에서 열린 전체회의를 통해 차기 대표 선출 경선방식을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선관위 연설토론기획소위원장을 맡은 서지영 의원은 회의 직후 "기존에는 책임당원 투표 결과만 100% 반영해 예비경선을 치렀다"며 "이번 전대에서는 일반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미 대표 후보 출마를 선언한 조경태, 안철수, 장동혁, 주진우 의원과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해 5명의 출마자가 공식화된 상황에서, 후보자 수가 4명을 넘을 경우 예비경선을 통해 4명으로 압축할 방침이다.  

최고위원 경선 방식도 바뀔 예정이다. 선관위는 최고위원 후보가 8명을 초과하면 예비경선을 통해 8명으로, 청년최고위원은 예비경선으로 4명까지 줄이기로 했다. 특히 청년최고위원 예비경선에서는 45세 미만 책임당원에게만 투표권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세대교체 의지가 읽힌다.  

 

후보자 납부 기탁금도 세분화됐다. 대표 후보는 예비경선 기탁금 4000만원, 본경선 진출 시 4000만원 추가 납부가 필요하다. 최고위원 후보는 각 단계별로 2000만원, 청년최고위원 후보는 500만원씩 내야 한다. 단, 45세 미만 후보자는 대표 경선이나 최고위원 경선에서 기탁금의 절반만 납부하도록 감면한다. 또, 당원 접촉 기회 확충을 위해 합동연설회는 권역별로 네 차례 개최된다.  

 

국민의힘 선관위가 예비경선 룰 손질에 나선 배경에는 '당심'과 '민심' 간 균형을 꾀하겠다는 전략적 판단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그러나 경선 방식이 바뀐 만큼, 특정계파에 유리하거나 불리하다는 비판 여론도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정치권은 국민의힘의 이번 결정이 향후 대의원 구조와 전대 판세, 그리고 세대교체 흐름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 선관위는 이번 룰 개정을 바탕으로 차기 지도부 선출 절차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정재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민의힘#전당대회#서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