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저지 등 내란 혐의 신문 본격화”…윤석열, 특검 2차 조사서 진실공방 점화
체포영장 집행 저지와 내란·외환 혐의를 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특별검사팀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윤 전 대통령은 5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내 내란특검 사무실에서 2차 대면조사를 받으며, 특검의 신문이 본격화됐다. 여야 정치권은 조사 전 과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조사 결과에 따른 정국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2분 윤석열 전 대통령은 서울고검 내 내란특검 사무실에 도착해 곧바로 조사를 시작했다.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브리핑에서 “체포저지 관련 조사가 시작됐고, 현재 신문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혀 조사의 효율성과 환경 변화를 강조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검의 2차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도착해 차량에서 내리고 있다. 2025.7.5 [공동취재]](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0705/1751685495785_694442744.webp)
2차 조사에는 김정국·조재철 부장검사가 직접 신문을 담당하며, 1차 조사 당시 ‘조사자 교체’ 논란의 중심에 섰던 박창환 총경은 지원 역할에 한정됐다. 특검팀은 “조사량과 효율성, 신속한 진행을 위해 신문 담당과 지원을 분리했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은 송진호·채명성 변호사가 조사에 입회해 변호인 자격으로 절차를 점검하고 있다.
쟁점은 지난 1월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체포영장 집행을 대통령경호처가 조직적으로 저지했다는 혐의이다. 앞선 1차 조사에서는 조사자 인선 문제가 불거져 조사가 중단됐지만, 이날 2차 조사에선 별도의 면담이나 대기 절차 없이 신문이 곧바로 진행됐다.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주요 피의사실 대부분을 확인할 계획”이라며, 이번 신문이 광범위하게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체포저지 논란 외에도 평양 무인기 투입지시, 계엄 선포 과정에서 국무위원 심의 방해 그리고 선포문 사후 서명 이슈 등, 내란·외환 관련 각종 의혹이 조사 범위에 올랐다. 특검팀 관계자는 “오늘 중 조사가 마무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필요할 경우 추가 소환도 검토된다”고 밝혔다. 영상녹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특검은 최근 윤석열 정부 국무위원 진술을 참고인 신분으로 확보했다. 특검팀은 “관련 인물의 소환은 증거와 진술 수집 차원에서 병행되며, 국무위원 전원 피의자 소환 방침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정치권과 여론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조사 대응 태도와 향후 진술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외환 혐의 진실을 밝혀야 한다”며 신속‧공정한 진상 규명을 특검에 촉구했고, 대통령실 주변 각종 의혹에 대한 철저한 수사 필요성도 거론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에서는 “정치적 수사로 정국을 혼란스럽게 해서는 안 된다”고 반발, 맞불을 놓았다.
현재 특검팀은 이날 조사 결과와 추가 신문 진술을 종합해 구속영장 청구 등 수사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향후 국회와 정치권의 공방, 국민적 관심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5일 국회와 정치권은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외환 특검 조사를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특검 수사와 관련한 여야 정면 충돌 양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