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 추가 매입 없다”…미국 비트코인 전략 비축 무산에 시장 충격
현지시각 15일, 미국(USA)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가 정부 차원의 비트코인 추가 매입 계획을 공식 부인했다. 베센트 장관은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는 비트코인 구매 대신 압수 자산을 통한 비축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히며,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BTC) 매각 중단 방침도 함께 전했다. 이 같은 발표는 전날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인 12만4천 달러를 돌파한 직후 급격한 가격 조정이 이어지는 가운데 나왔다.
베센트 장관의 발언 직후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11만8천 달러까지 하락했다. 가상자산 파생상품 데이터 제공업체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총 10억 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다. 그 중 롱포지션 청산액이 7억4천7백만 달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종목별로는 이더리움이 3억1천2백만 달러로 최다 청산 피해를 기록했고, 비트코인이 2억1천4백만 달러, 솔라나와 XRP도 각각 큰 폭의 청산을 겪었다. 최근 이더리움의 사상 최고가 근접 랠리가 파생상품 시장 과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과거 미국 정부는 압수 자산을 경매 등 시장에 매각해왔으며, 정부 차원의 직접 비트코인 매입은 투자자 사이에 시장 수급상의 기대를 모아 왔다. 베센트 장관은 정부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 규모가 약 150억~200억 달러에 달한다고 언급했지만, 추가 매입 계획이 무산되면서 시장 수요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꺾였다.
이 같은 조치는 미국 정부 정책 기조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세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나, 이번 비트코인 매입 무산 결정은 단기적으로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중기적으로는 정부 수요 부재에 따른 시장 내 공급 과잉 우려까지 낳고 있다. SEC와 CFTC의 가상자산 정책 실행, 대통령 직속 워킹그룹의 권고안 발표 등 정책 방향성은 유지되고 있지만, 시장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로이터통신은 “미국과 세계 가상자산 시장이 정책 불확실성 속에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고 전했다. CNBC 역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간 역할 분담이 재정립되는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정책 불확실성이 완화되면 민간 주도의 성장 가능성이 다시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8천2백 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미국 정책 기조 변화와 주요 알트코인 가격 동향 등에 따라 향후 가상자산 시장의 변동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는 앞으로 미국 정부의 추가 입장 발표와 정책 이행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