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공격 유도 문구 인정”…노상원, 특검 수첩 진위 시인 파장
‘12·3 비상계엄’ 논란의 핵심 인물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자신이 직접 쓴 수첩에 “북의 공격 유도” 등 충격적 문구가 포함됐음을 인정해 파장이 일고 있다. 노 전 사령관의 자필 수첩은 계엄 명분 조작과 ‘북풍 공작’ 의혹의 중심 증거로, 정치권과 군 안팎의 긴장감이 한층 고조됐다.
특별검사팀은 8월 22일 노상원 전 사령관을 추가 소환해 집중 조사를 이어가며, 논란의 ‘노상원 수첩’이 본인 작성물임을 직접 인정했다는 사실을 공식 밝혔디. 이날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노 전 사령관은 ‘노상원 수첩’이 본인의 수첩임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 특검보는 이어 “참고인을 통한 필체 대조는 진행된 사실이 없다”고 부연하며, 수첩의 진위 논쟁이 사실상 종결됐음을 시사했다.

문제가 된 ‘노상원 수첩’은 과거 경찰이 압수한 자료로, ‘NLL(북방한계선) 인근에서 북의 공격을 유도’, ‘오물풍선’ 등 파문을 일으킨 표현들이 확인됐다. 이를 두고 노 전 사령관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과 계엄 선포를 위한 ‘북풍’ 연출을 모의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쏟아지고 있다. 특검팀은 이와 함께, 노 전 사령관이 자주 접촉했던 무속인 이씨와의 대화, 군 간부 실제 발언 등 수첩 기재 내용 전반을 조사하고 있다.
아울러, 특검은 계엄 준비 정황 핵심 연결고리로 지목된 예비역 중장 A씨를 최근 소환했다. A씨는 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 육군교육사령관 등을 역임한 인물로 김 전 장관·노 전 사령관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특검팀은 “현 단계에서 A씨의 계엄 방조 관련 구체 혐의점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선 ‘북풍’ 수첩 진위 인정이 사실로 드러남에 따라 비상계엄 논란과 관련된 수사가 중대한 분수령을 맞게 될 것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수사 진행에 따라 계엄 명분 조작 의혹이 또다시 정국 변수로 급부상할 공산이 커졌다.
특검은 오는 23일과 24일에도 노상원 전 사령관에 대한 연속 소환 조사를 예고했다. ‘북풍’ 유도 의혹, 제3자 내란 방조 의혹 등 추가 단서 확보에 따라 차후 수사 방향이 결정될 전망이다. 정치권은 잇단 폭로와 진상 규명 촉구 속에 논란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