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가 지방행정 바꾼다”…강기정, 광주시 ‘AI 정부’ 전환 가속
지방정부의 디지털 행정혁신을 둘러싼 격돌 속에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본격적인 ‘AI 정부’ 시대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기초로 한 스마트 행정 도입을 선언한 광주시는 시청 내 대규모 부서에 신기술을 적용하며, 공직사회 업무 효율과 창의력 증진을 동시에 노리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3월부터 6월까지 53개 부서, 165명을 대상으로 챗GPT, 퍼플렉시티, 미드저니, 감마 등 생성형 AI 솔루션 활용을 지원하는 디지털 신기술 이용료 사업을 추진했다고 8일 밝혔다. 전체의 95%에 해당하는 직원들이 챗GPT를 실무에 도입했으며, 보고서 초안 작성, 데이터 분석, 사례 수집 등 기획·리서치 업무에서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다는 게 광주시의 설명이다.

퍼플렉시티와 미드저니, 감마, 냅킨AI 등 다양한 서비스 역시 각각 정보조사, 디자인, 프레젠테이션, 도식화 지원 등으로 확산 중이다. 아울러 광주시는 GPTs 기반 자체 플랫폼인 ‘AI 대변인’을 도입해 보도자료, 정책 설명문, 문서 요약 등 행정 지원에 적극 활용 중이다. 현재 1,000명 이상의 시청 직원이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자 만족도도 5점 만점에 4.7점으로 높게 기록됐다.
정치권에서는 광주시의 이같은 행보가 ‘AI 중심도시’에서 ‘AI 정부’ 체제로 도약하는 중요한 분기점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무교육·콘텐츠 지원 확대, 업무 포털 ‘디지털 실험실(D-LAB)’을 통한 사례 공유 등이 결합되면서, AI 기반 행정환경이 빠르게 자리매김한다는 점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야권 일각에서는 AI 도입의 효율성과 창의력 향상 효과에 긍정 평가를 내놓으면서도, 개인정보 보호, 예산 집행의 투명성 확보 등 부수적 과제에 대한 면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는 “하반기 신기술 이용료 지원 대상도 늘리고, 전 직원 대상 체계적 교육과 실효성 점검을 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주시는 올해 하반기 AI 신기술 지원 폭을 더욱 확대하고, 지방행정의 체질 변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인공지능 혁신을 향한 지자체 행정 실험이 전국 확산 신호탄이 될지, 정치권 안팎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