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러-우크라 전 이후 대표단 급 낮춰”…정부, 동방경제포럼에 총영사 파견
정치

“러-우크라 전 이후 대표단 급 낮춰”…정부, 동방경제포럼에 총영사 파견

최영민 기자
입력

정부와 러시아 간 외교 현장이 달라졌다. 동방경제포럼(EEF) 참석 대표의 급이 크게 낮아지면서 양국 관계와 국제 제재 분위기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외교부는 3일부터 6일까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2025년 동방경제포럼에 하병규 주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를 대표로 파견했다고 4일 확인했다. 정부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기존 고위급 대표단보다 위상을 낮춘 현지 공관 인사를 대표로 내보내는 기조를 올해도 유지한 셈이다.

그간 한국 정부는 포럼 출범 초기였던 2015년부터 대통령, 국무총리, 부총리, 장관 등 최고위급 인사를 꾸준히 파견해왔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대러 제재 동참, 국제 정세 변화가 맞물리며 지난해부터는 주러시아대사관 경제공사가 대표를 맡았고, 올해는 해당 직위조차 공석인 가운데 주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가 대표로 참석하게 됐다. 한 외교 소식통은 “현재 주러시아대사관 경제공사가 공석이고, 주러시아대사관 정무공사는 대사대리 역할을 맡고 있어 현지 총영사가 맡게 됐다”고 전했다.

 

전환점은 2022년이다. 대러시아 제재 국면에 맞춰 한국 역시 최고위급 대표 참석 전통을 접고 현지 공관장급으로 사실상 격을 낮췄다. 정부는 대러 제재에 동참하고 있는 현 국제 질서를 의식한 방침임을 내비쳤다.

 

한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4일 현재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해 5일 포럼 본회의 연설을 준비 중이다. 푸틴 대통령은 중국 전승절 공식 일정을 마친 뒤 곧바로 동방경제포럼을 위해 현지에 입성했다. 일각에서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 행사에 모습을 보였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동방경제포럼에도 참석할 것인가에 관심이 쏠렸으나, 정부는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외교가에선 이번 대표 파견 결정이 한러 관계, 동북아 정세, 대러 제재와 국내외 여론까지 복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향후 정부는 대러 제재 상황 및 국제정세 변화 등을 주시하며 러시아와의 교류 방식을 신중히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동방경제포럼#하병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