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정당했다”…서임석, 예결위 논란 속 신상발언에 정치권 파문
예결위원 선임을 둘러싼 내홍이 이어진 가운데, 책임론의 중심에 선 서임석 광주시의회 의원이 정당성을 거듭 주장하며 논란은 새 국면을 맞고 있다. 8월 14일 광주시의회 임시회에서는 예결위 전원 사임과 후임 위원 선임을 결정했지만, 이날 본회의에서 서임석 의원은 “나는 잘못이 없다”며 신상 발언을 이어가 여진을 남겼다.
본회의장에서 서임석 의원은 “언론과 여론이 사태의 원인을 본 의원이 3기 예결위원 자리를 양보하지 않은 것으로 호도한다. 이는 명백한 사실 왜곡이다. 연임을 막는 관례나 규정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정당하고 법적, 절차적으로도 정당성이 있다”며, 자신이 3기 예결위원을 맡은 데 문제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1년 전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예결위원장에 내정됐던 본인이 4기 예결위원에 포함되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을 저에게만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은 논란의 당사자인 서임석 의원을 포함한 10명을 윤리심판원에 회부했다. 이 중 7명은 무소속 위원장, 국민의힘 부위원장 선임 논란 관련, 서임석 의원은 예결위원 선임 과정 차질에 따른 책임으로 각각 징계 대상이 됐다.
서 의원의 발언에 동료 시의원들은 즉각 우려를 드러냈다. “모든 의원이 책임을 인정하고 사퇴 후 징계를 기다리는 시점에서 서 의원만 ‘잘못 없다’는 식으로 주장해 논란 재점화가 우려된다”는 반응도 나왔다. 일부 언론에서는 “서 의원의 거듭된 3기 위원직 수행이 논란 시작점”이라고 평가했다.
현장에서는 예결위원장 인선을 둘러싼 순번 조정 요구 등이 맞물리며, 서 의원과 동료 사이 갈등이 여러 차례 드러난 바 있다. 이러한 갈등이 결국 4기 예결위원장 내정자 부재와 ‘밀실 투표’, 타당 소속의 예결위 지도부 선출 사태로 이어지며, 광주시의회의 도덕성과 내부 의사결정 절차에 관한 비판이 쏟아졌다. 정치권에서는 조속한 사태 수습을 요구하는 목소리와 함께, 민주당 내분 조짐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서 의원은 한국자유총연맹 지원 조례 공동 발의와 관련해 “판단 부족과 부주의한 의정활동을 시민께 사과드린다”며, 예산 지원 중단도 집행부에 주문했다.
광주시의회는 예결위 논란에 따른 전원 사퇴와 후임 위원 선임에도 불구, 내부 책임 공방이 지속되는 모양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윤리심판원 징계 결과와 향후 광주시의원 의정 활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