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조속 추진 제안”…위성락, 미 국무에 동맹 협력 강조
한미 통상·외교 현안을 둘러싼 긴장감 속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미국 측이 정상회담 조기 개최 필요성에 의견을 모았다. 7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위성락 실장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은 안보실장 협의를 갖고, 동맹 발전 방안과 현안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대통령실은 8일 이같이 전하며, 양측의 입장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위성락 실장은 회의에서 양국 현안을 놓고 “한미가 동맹 정신에 기초해 큰 틀에서 동맹을 더욱 강력히 발전시켜야 한다”며, “안보실장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속도감 있게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더불어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이 이뤄져, 모든 현안에서 상호호혜적 결과가 도출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미국 측은 “공감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특히 최근 미국이 한국 등 주요국을 상대로 관세 부과 관련 서한을 발송한 점과 관련해, 미 국무부 측은 “실제 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까지 시간이 남아 있으며, 그전까지 양국이 합의에 이르기 위해 긴밀히 소통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 같은 정책 기조를 바탕으로, 통상 현안에 한미 양국이 마지막까지 협상 여지를 남겨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양국은 조선 분야 협력 확대 문제도 함께 다뤘다. 정부와 업계 등 각계 역량을 결집해 실질적인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으며, 향후 구체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 긴밀히 조율할 방침이다.
우리 측은 “새 정부의 실용외교는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하고 있다”며, “70여 년의 동맹 역사가 변화하는 안보 환경에도 단단히 유지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미 안보실장 협의의 유용성을 높이 평가하고, 동맹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소통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는 후속 설명도 나왔다.
정치권에서는 한미 간 정상회담이 단기간 내 성사될지, 그리고 통상·안보 분야에서 양국이 어떤 성과를 낼지 주목하고 있다. 외교부 및 대통령실 관계자는 “향후 관세 협상과 한미동맹 강화 논의에 속도를 붙일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