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기 전문가 배치 경위 추적”…조은석 특검, 국방부 인사관리과 재압수수색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둘러싸고 조은석 특별검사팀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내란 혐의를 수사 중인 특검은 29일 ‘평양 무인기 의혹’에 연루된 국방부 인사관리과를 재차 압수수색하며 사건의 전모를 밝혀내기 위한 강도 높은 조치에 나섰다.
이날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오전 브리핑에서 “국방부를 압수수색했다”며 “구체적인 혐의 내용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압수수색 대상은 용산 국방부 인사복지실 산하 인사기획관리과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특검팀의 이번 압수수색은 2023년 윤석열 정부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센터 산하 대북 정보융합팀을 신설하며 무인기 전문가 추천과 배치에 국방부가 관여한 정황을 집중 추적한 결과다. 조은석 특검은 무인기 관련 군사 작전이 내란 혐의의 실체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자료 확보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앞서 특검은 지난 7월 국방부와 드론작전사령부 등 군 기관을 전방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작전 준비와 실행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군 관계자들을 잇따라 조사해 왔다. 특검 관계자는 “각 단계 의사결정 경로를 재구성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별개로, 내란 의혹의 핵심 당사자로 지목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신병 처리 문제도 정국의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검이 지난 24일 윤 전 대통령 측에 ‘피의자 신분’ 출석 조사를 통보했으나, 윤 전 대통령 측이 출석하지 않으면서 검찰 조사도 무산됐다. 특검은 오는 30일 오전 10시에 2차 출석을 재차 통보한 상태다.
박지영 특검보는 “현재까지 윤 전 대통령 측으로부터 불출석 사유서나 변호인 선임서 등 어떠한 공식 서류도 접수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조은석 특검팀의 이번 추가 압수수색과 출석 요구로 인해 내란 특검 수사는 한층 분수령을 맞고 있다. 정치권과 관련 기관들이 긴급 동향을 주시하는 가운데, 그 결과가 정국의 흐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지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특검팀은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 분석과 함께, 윤 전 대통령 출석 요구에도 지속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