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정상회담 앞서 日 방문 확정”…이재명 대통령, 이시바 총리와 미래협력 논의
한일관계를 둘러싼 외교적 기류가 재편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을 공식 방문한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첫 한일정상회담을 앞두고 한일, 한미일 공조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지 주목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3일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23일부터 24일까지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양자 정상회담 및 만찬 등 공식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방일 일정은 미국 방문을 앞두고 이뤄진 결정으로, 양국 정상은 양자 및 삼자 협의 강화, 역내 평화와 안정, 글로벌 현안까지 폭넓은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지난 6월 셔틀 외교 조속 재개에 합의한 데 이어 이번 만남을 통해 “양국 미래지향적 협력의 발판을 공고히 하고, 정상 간 신뢰와 개인적 유대도 심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또한 한미일 3국의 대외적 공조와 지역 현안에 관한 협력 방안 등도 주요 의제로 올라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한일정상회담의 성사 배경에 주목하면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소강 상태였던 한일관계가 급물살을 탈지’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다. 야권 일각에선 “한일 간 현안에 대한 구체적 합의가 중요하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하고 있다. 반대로 여권에서는 “한미일 안보협력, 경제교류 다각화로 국가 위상 강화의 계기”라고 평가했다.
외교전문가들도 양국 셔틀 외교가 공식 재개되면 “신뢰 회복의 상징적 전환점이자, 동아시아 역내 긴장 관리에 기여할 것”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향후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 일정과 연계해 한미, 한일, 한미일 정상 간 연쇄 회담이 촉진되면, 주요 외교 현안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현재 대통령실은 “이번 일본 방문으로 한일 간 개인적‧정책적 신뢰 구축이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했고, 대미‧대일 특사단 추진은 모두 중단하기로 했다. 정부는 조만간 방미 일정까지 마무리한 뒤 한미일 정상간 전방위 외교 채널의 구축과 실무 협의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