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10월 10일, 황금연휴 현실화되나”…제헌절 공휴일 재지정 논의 급물살
사회

“10월 10일, 황금연휴 현실화되나”…제헌절 공휴일 재지정 논의 급물살

김서준 기자
입력

10월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이 실현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제헌절(7월 17일)의 공휴일 지정 필요성을 공식 언급한 데 이어 국회도 같은 입장을 표명하면서다.

 

이달 17일 이 대통령은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에서 “7월 17일, 헌법이 제정·공포된 날을 기념하는데, 유일하게 휴일이 아닌 국가기념일”이라며 “제헌절을 특별히 기릴 필요가 있으니 휴일로 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말했다.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 역시 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5대 국경일 중 제헌절만 유일하게 공휴일이 아닌 점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제헌절은 1948년 헌법 공포일을 기념해 5대 국경일 중 하나로 지정됐으나, 2008년 이명박 정부 때 ‘생산성 제고’ 명분으로 공휴일 지위에서 제외됐다.

 

하지만 올해 10월에는 개천절(3일), 추석(5~7일), 한글날(9일) 등이 연이어 있어, 8일은 대체공휴일로 지정된 상태다. 이 가운데 10월 10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3일부터 12일까지 최대 10일간의 ‘초장기 황금연휴’가 가능해진다. 연차 없이도 열흘을 쉴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국회가 제헌절의 공휴일 재지정 입장을 내고, 정부 역시 임시공휴일 논의를 공식화하면서, 이번 가을을 앞두고 전례 없는 연휴가 실현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편, 문화계와 노동계 등 여러 시민사회단체에서는 “경쟁 중심의 단기 생산성보다, 사회 통합과 헌법적 가치 기념이 더 중요하다”는 주장을 내놓으며 제도 개선 논의에 힘을 실었다.

 

최종 공휴일 지정 여부와 사회적 파장은 오는 9월 이후 국무회의 등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제헌절#임시공휴일#이재명대통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