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군 공항 이전 방식 두고 광주시-무안군 충돌”…이재명 대통령 지시 속TF 구성 앞 신경전
정치

“군 공항 이전 방식 두고 광주시-무안군 충돌”…이재명 대통령 지시 속TF 구성 앞 신경전

최동현 기자
입력

군 공항 이전을 둘러싼 갈등이 재점화됐다. 핵심 의제인 예비 이전 후보지 결정 방식을 두고 광주시와 무안군이 정면으로 충돌했다. 대통령실이 주도하는 ‘광주 군 공항 이전 TF’ 구성을 앞두고 지역 및 정치권의 입장 차가 표면화하면서 갈등의 불씨가 다시 커지고 있다.  

 

7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25일 광주에서 열린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에서, 답보 상태인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대통령실과 범정부가 함께 하는 TF 구성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번 TF에는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 등 3개 지자체와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 총 6개 기관이 참여한다.

광주시는 이미 지난 12일 정례 조회를 통해 군 공항 이전 TF에서 논의될 6대 과제와 담당 행위 주체를 확정 짓고, 연내 무안군을 예비 이전 후보지로 발표하는 로드맵까지 자체 마련하며 적극적 행보에 나섰다. 광주시는 “비용 추계와 소음 측정 등 필수 절차가 마무리되면, 오는 12월 무안군 예비 후보지 발표가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무안군은 이런 광주시의 입장을 강력히 반발했다. 무안 지역 시민단체인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이전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는 4일 공식 성명을 통해, “TF가 아직 출범도 안 한 시점에 일방적으로 이전 로드맵을 내놓는 건 군민을 압박하는 행위”라며 “강기정 광주시장은 경거망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산 무안군수 역시 지난 3일 대통령실을 직접 찾아, 김용범 정책실장에게 ‘국가사업 전환’과 함께 ‘공모 방식’ 후보지 결정을 공식 건의했다. 무안군 관계자도 “무안국제공항이 있다는 이유 하나로 후보지로 찍는 건 부당하다”며 “대구 군 공항 사례처럼 공정한 공모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는 “6자 TF에서 각자 역할에 충실하다면 후보지 발표가 가능하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으나, 무안군의 공모 요구는 TF 구성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광주시 관계자는 또 “과거 여러 공항 입지·군 작전성·사업성을 종합 검토해보면, 실질적으로 후보지가 매우 한정적이라 공모는 의미가 없다”고도 반박했다. 공모 방식 채택 여부는 TF 주관 부처인 대통령실 정책실에 넘겨진 상태다.

 

지역 대립이 격화되면서 군 공항 이전 사업은 다시 한번 복잡한 국면에 접어들었다. TF 내에서 각 기관 입장 조율과 함께, 민주적 공모 및 지역 타협 요구가 맞부딪치고 있다. 이번 논의가 향후 전국 단위 군 공항 이전 정책의 새로운 설례가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뒤따랐다.

 

정치권과 정부는 6자 TF 공식 출범 이후에도 예비 후보지 선정 기준과 방식, 지역 보상 대책 등 핵심 쟁점을 놓고 고도의 추가 협상을 이어갈 전망이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광주군공항이전tf#무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