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롱 드 홈즈” 시청률 질주…이시영·정영주, 우먼 히어로 각성→시장 판도 흔들다
밝은 미소 뒤에 숨은 단단한 의지가 ‘살롱 드 홈즈’에서 빛났다. 이시영과 정영주, 김다솜, 남기애가 평범한 이웃의 얼굴로 등장했다가 어느새 강인한 우먼 히어로로 거듭나며 화면을 물들였다. 생활의 어느 한 모퉁이에서 시작된 작은 연대는, 감춰진 정의를 끄집어내고 드라마의 긴장감으로 응축됐다.
‘살롱 드 홈즈’는 광선주공아파트를 배경으로 각자의 일상에 지쳐있던 네 명의 여성이 삶의 문제를 함께 마주하면서 성장해가는 코믹 워맨스 활극이다. 이시영이 연기하는 전직 에이스 형사, 정영주의 보험왕, 김다솜의 알바 여왕 등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주인공들은 현실감을 더한 캐릭터로 시청자와의 거리를 좁혔다. 그들은 맞서 싸워야 했고, 머리와 발로 정보를 탐색해 아파트 빌런들을 응징하는 과정에서 연대와 용기의 진정한 의미를 일깨웠다.

흥미로운 점은 시청률 곡선이다. 첫 방송 1.3퍼센트로 출발한 이 드라마는 6회 만에 3.4퍼센트까지 세 배에 가까운 상승폭을 그렸다. 전작 ‘당신의 맛’에서 기록한 3.8퍼센트마저 머지않았다는 여론이 힘을 얻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ENA 드라마가 ‘여성서사 맛집’이라는 명성을 이어가며, 일상의 불편을 직접 변화시킬 힘을 가진 주체적 여성상의 확장 가능성을 현실 속에 그려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이 드라마에서 네 여성은 몸소 싸움에 뛰어들고, 스스로 정보를 모으며 변화의 주체임을 증명했다. 남성 중심 이야기가 지배적이던 장르에서 여성 연대의 서사가 한편의 치열한 활극처럼 펼쳐진 것. 이에 따라 시청자들은 현실의 아파트에서, 동네 이웃에서 볼 법한 여성 캐릭터가 빌런과 맞서 싸우는 장면에 감정적으로 몰입했다.
‘살롱 드 홈즈’는 단순히 여성 캐릭터의 활약에 머물지 않고, 워맨스 액션과 스릴러의 경계를 허물며 지적재산(IP) 한계의 확장성까지 모색하고 있다. 범죄자와의 대결을 앞둔 후반 전개에서 통쾌한 카타르시스를 예고하는 동시에, 마지막까지 고조되는 긴박감으로 시청자 기대가 고조된다.
이렇듯 이시영, 정영주, 김다솜, 남기애가 펼치는 평범함과 비범함의 경계는 결말을 향해 더욱 응집력 있게 흐를 전망이다. ‘살롱 드 홈즈’는 매주 월, 화요일 밤 10시 ENA 채널에서, 그리고 쿠팡플레이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