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파월 해임 땐 금리 0.5%P↑”…미국, 연준 독립성 흔들리나 파장 주목
국제

“파월 해임 땐 금리 0.5%P↑”…미국, 연준 독립성 흔들리나 파장 주목

문경원 기자
입력

현지시각 22일, 미국(USA) 금융시장에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해임 가능성이 제기되며 30년 만기 국채 금리가 0.5%포인트 이상 오를 수 있다는 도이체방크의 분석이 나왔다. 이번 전망은 연준의 독립성 훼손 우려와 함께 장기 국채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한 투자자 주의를 촉구하고 있다.

 

도이체방크의 매슈 래스킨과 스티븐 쩡 전략가는 최근 보고서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파월 의장 사임’ 언급 이후 자산시장이 강한 변동성을 보였다고 진단했다. 지난 16일 트럼프의 발언 직후 미국 주식, 달러화, 30년 만기 장기국채 가격은 급락했고, 단기 국채 가격은 오르는 등 이례적인 흐름이 관측됐다. 비록 트럼프가 곧바로 해임 언급을 부인했으나, 해임 가능성은 장기 금리 상승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해석이다.

파월 해임 시 美 30년물 국채금리 0.5%p 급등 전망…도이체방크 분석
파월 해임 시 美 30년물 국채금리 0.5%p 급등 전망…도이체방크 분석

도이체방크는 실제 지난주 발생한 수익률 곡선 변동성을 토대로, 파월이 해임된다면 장기국채 금리(30년물)가 약 56bp(0.56%포인트) 급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동시에 단기적으론 완화적 통화정책 기대감에 단기 국채 금리는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미국 5년물과 30년물 금리 차이는 약 100bp로, 2021년 이후 가장 크게 벌어진 상태다. 도이체방크는 연준 신뢰 저하와 재정 지출 증가 상황에서는 장단기 금리 차이 확대에 베팅하는 ‘스티프너 거래’가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 백악관 주요 인사들이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달 들어 미국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인플레이션, 정부 지출, 금리 인하 기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급등세를 보여왔다. 지난주의 소비자물가 발표 이후 국채 매도세가 심화되면서, 30년물 금리는 5%대를 돌파했다가 21일엔 4.95% 내외에서 등락했다.

 

전문가들은 연준 수장의 해임 이슈가 시장 신뢰와 금리 변동성을 동시에 자극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도이체방크 역시 “파월 해임과 같은 이슈는 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며, 앞으로도 금리 변동성이 더욱 커질 수 있음을 경고했다.

 

이번 사안은 연준의 독립성과 미국 거시정책 안정성에 대한 국제 금융시장의 시험대로 해석된다. 투자자들은 향후 정부의 정책 방향과 수익률 곡선 변화, 그리고 금리 리스크에 대응한 투자전략을 주의 깊게 점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연준과 백악관의 긴장 관계가 지속될 경우 글로벌 채권시장까지 여파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문경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파월#도이체방크#국채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