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설 본격 수사”…정민영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향한 의혹 추적
채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한 외압 의혹을 두고 정민영 특검과 윤석열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정국이 다시 격랑에 휩싸였다. 해병대 수사단 초동조사에 개입했다는 ‘VIP 격노설’이 정점에 오르며, 정치권과 여론의 관심도 한층 고조되는 모습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4일 특검 사무실 브리핑에서 “다음주부터 이른바 ‘VIP 격노설’ 관련 조사를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 이후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혐의자에서 제외된 점에 주목하며, 회의 당사자들을 차례로 소환할 계획을 공개했다.

특히, 특검은 ‘VIP 격노설’ 최초 전달자 중 한 명으로 지목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오는 7일 오전 소환한다. 김 전 사령관은 “대통령이 사단장 처벌에 격노했다”는 발언 전달자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진술에서 언급됐으나, 직접 관련 발언을 부인해왔다. 특검은 김 전 사령관이 당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대통령실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 집중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회의 직후 이종섭 전 장관이 김 전 사령관에게 ‘경찰 이첩 보류’와 ‘언론 브리핑 취소’ 등을 지시했다는 정황도 특검 수사 범위에 포함된다. 회의 당일 오전 11시 54분, 대통령실 명의 번호로 이 전 장관이 전화 연락을 받은 사실이 이번 수사의 주요 단서가 될 전망이다.
한편, 김계환 전 사령관은 최근 전역해 민간인 신분이 됐다. 이에 따라 국회 및 법정 증언과는 달리 새로운 진술이 나올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VIP 격노설’이 확인될 경우, 윤석열 전 대통령과 당시 대통령실 및 국방부 라인 전반에 파장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특검은 또 유재은 전 법무관리관, 박경훈 전 조사본부장 직무대리 등 외압 의혹 관련 국방부 인사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하며 수사망을 넓혔다. 수사기록 검토를 마치는 대로 추가 소환 조사에 나설 계획임을 시사했다.
이날 특검은 "임성근 전 1사단장의 허위보고 관련 내용도 조사할 예정"이라며, 수사 외압 전반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수사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정치권은 외압 의혹 실체 규명과 진상 조사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