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 전공의 복귀 논의 본격화”…수련협의체 25일 첫 회의
전공의 수련 시스템 개선 논의가 본격화된다. 정부와 전공의 단체, 수련병원, 의학회 등이 참여한 수련협의체가 오는 25일 첫 회의를 열고 사직한 전공의의 복귀 방안, 수련 환경 개선, 법적 부담 완화 등 의료현장 중심 요구를 심도 있게 검토한다. 이달 말로 예정된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앞두고 급격한 인력 공백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 마련 여부가 의료계의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수련협의체는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수련병원협의회, 대한의학회, 수련환경평가위원회가 참여해 복지부와 현안 협의를 추진한다. 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과 이형훈 복지부 제2차관 등 관계자들은 수련 연속성 보장, 근무환경 실효적 개선, 의료사고 대응 법제도 등 현안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공의 수련환경 실태와 인력 유출 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논의 구조 안착 여부가 관건이다.

이번 협의체 논의의 주요 배경에는 현장 인력수급 안정화 필요성이 있다. 대전협이 3대 대정부 요구안으로 현장 전문가 중심의 정책 검토, 수련 연속성 강화, 의료사고 부담 완화를 제시하며 제도적 뒷받침을 강조했다. 의료계는 그간 전공의 수련 체계의 불확실성과 업무 과중이 의료현장 ‘공백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꾸준히 제기해 왔다.
수련의 연속성 보장과 직결되는 사직 전공의, 입영 대기 전공의의 복귀 문제도 테이블에 오른다. 대전협은 국민 여론을 의식해 입대 연기 요청을 공식적으로 내지 않았으나, 입영 대기 전공의 사이에선 복귀 후 남은 수련기간 내 입영 연기, 전역 후 수련병원 복귀 등 탄력적 제도 운영에 대한 현장 요구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수련 중단에 따른 전문의 수급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하반기 전공의 모집 공고는 늦어도 내주 중에 나올 예정이며, 업계는 이번 수련협의체 논의가 전공의 인력 구조와 병원 운영의 분수령이 될지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 역시 연속적 수련환경 조성, 필수의료 체계 구축에 힘을 쏟는 한편, 협의 결과에 따라 입영 연기 등 제도 개선책 마련 가능성도 탐색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전공의 복귀 논의가 제도와 현장 간 괴리를 줄이고, 실제 수련 시스템의 질을 높이기 위한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의료 인력 안정화와 제도 연계가 실제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