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개입 의혹 핵심인물 소환 통보”…특검, 명태균·김영선 신문 두고 법정신경전
공천개입 의혹을 둘러싼 민중기 특별검사팀과 피의자 측이 치열하게 맞붙었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특검팀이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와 김영선 전 국회의원에게 각각 출석을 요구했으나, 피의자 측 반발로 소환 일정 조율에 난항이 예상된다. 이미 관련 대화 녹취록의 파장이 커진 가운데,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선거개입 의혹 수사전이 정치권을 흔들고 있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전 명태균 씨 측에 오는 28일 오전 10시 사무실 출석을 통보했다. 동시에 수사관을 재판이 열린 창원지방법원 현장에 보내 출석요구서를 전달하려 했으나, 명 씨 측은 특검이 일방적으로 일정을 정했다며 서류 수령조차 거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출석요구서에는 명 씨가 뇌물공여·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의 피의자로 명시됐다.

한편 특검은 김영선 전 의원에 대해서도 23일 또는 24일 중 조사를 받으라고 통지했다. 하지만 김 전 의원은 내달 7일에나 출석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특검팀은 다시 김 전 의원의 재판이 열렸던 창원 현장에서 신속한 출석을 재차 요구했으나, 양측 이견이 커진 상태다.
명태균 씨 관련 의혹은 특검팀 수사의 중추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대선 캠프 당시 명 씨로부터 무상 여론조사를 받고, 그 대가로 국민의힘 국회의원 후보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쟁점이다. 수사에 따르면 명 씨는 총 81차례 불법 여론조사를 제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영선 전 의원 역시 2022년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2023년 4·10 총선에 걸쳐 공천 개입 의혹의 중심에 서있다.
특히 앞서 드러난 통화 녹취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김영선을 좀 해줘라"며 당 관계자와 논의한 내용이 포함돼 역풍이 커지는 상황이다. 해당 의혹과 관련, 지난 8일 특검팀은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 사무실, 김영선 전 의원 자택을 전격 압수수색한 바 있다.
이와 동시에 민중기 특검팀은 공천개입 의혹 최정점에 선 윤석열 전 대통령을 29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추진 중이다. 같은 날 출석요구서에는 명태균 씨와 관련된 혐의가 집중적으로 담길 전망이다.
여야 모두 ‘공정 선거의 근간 훼손’이라며 격렬하게 맞서고 있다. 야당은 “정권 핵심의 조직적 선거 개입이 드러났다”며 특검 지원을 촉구했고, 국민의힘은 아직 수사 단계임을 들어 신중한 입장을 고수했다. 시민사회와 각계 전문가들 또한 이번 사안의 법적·정치적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날 국회는 공천개입 의혹의 본질과 향후 윤 전 대통령의 소환 조사에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정치권의 파장이 더욱 확산되는 양상이다. 특검팀은 명태균 씨와 김영선 전 의원의 소환 일정을 계속 조율할 예정이다. 윤 전 대통령 출석 여부에 따라 하반기 정국의 격랑이 예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