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 500억 달러 공략”…엔비디아-인텔, 협력 강화에 업계 촉각
현지시각 18일, 미국(USA)에서 반도체 업계의 대표 기업 엔비디아(Nvidia)와 인텔(Intel)이 대규모 투자 및 첨단 AI 시스템 공동 개발 방안을 발표했다. 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 달러를 투자하며 지분 약 4%를 확보하면서 미국 내 기술 산업의 지형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인공지능(AI) 시장의 공급망 다변화와 시스템 경쟁력 강화가 이번 협력의 핵심으로, 글로벌 시장에 직접적 파장을 낳고 있다.
엔비디아 젠슨 황 CEO는 인텔과의 콘퍼런스콜에서 “우리는 인텔 CPU의 매우 큰 고객이 될 것”이라며, 1년에 걸친 논의 끝에 파운드리·패키징 기술 협업과 데이터센터 AI 시스템 공동 개발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양사는 x86 기반 CPU, 엔비디아 GPU 및 네트워킹 기술을 결합한 초대형 데이터센터용 시스템 공동 개발에 합의했다. 인텔은 엔비디아 GPU가 탑재된 PC·노트북용 CPU 판매 역시 시작한다. 엔비디아 측은 “인텔로부터 CPU를 도입해 자사 컴퓨팅 노드 및 AI 슈퍼컴퓨터로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50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이번 결정은 최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불안, AI 연산 수요 급증 등 산업 배경 하에 달한 조치다. 엔비디아는 그간 주로 TSMC 등 아시아 파운드리 기업에 칩 생산을 맡겼으나, 인텔과의 협력을 통해 패키징 및 특정 칩렛 공급까지 확대한다. 인텔의 패키징 기술과 파운드리 역량이 엔비디아 칩의 성능·공급 안정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엔비디아 황 CEO는 “인텔의 파운드리 기술 역시 지속적으로 검토해왔다”고 언급했다.
미국(USA) 내에선 이번 협력에 대해 상호 보완적 전략으로, 최근 경영난을 겪었던 인텔에는 실적 개선과 기술 시장 복귀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매체들도 “반도체 기술 동맹의 새로운 국면” “글로벌 AI 생태계 재편의 신호”라고 분석했다.
시장에선 AI 서버·노트북부터 데이터센터 인프라 등 양사 협력 시너지가 주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대형사 간 공동 사업은 성장 시장 선점 및 공급망 리스크 분산에 필수”라면서, 일시적 주가 변동성에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엔비디아와 인텔은 맞춤형 CPU, 패키징 등 첨단 분야 협업을 계속 확대하기로 해 국제 반도체 산업의 경쟁 구도에 중요한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투자가 AI 시장 판도를 흔드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하며, 글로벌 투자자와 업계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