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소 7만2천곳 신설”…인도, 친환경 교통 확대에 대규모 투자
현지 시각 29일, 인도(India) 정부가 전국적으로 7만2천3백여 곳의 공공 전기차(EV) 충전소를 신규 설치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총 3천억 원 상당의 보조금이 투입되는 이번 계획은 모디 총리의 친환경 교통 정책 ‘PM E-Drive’ 사업의 핵심 과제로, 현재 부족한 충전 인프라 확대를 목표로 한다. 대규모 인프라 계획은 인근 국가와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도 직접적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인도 정부에 따르면 현재 가동 중인 공공 EV 충전소는 약 3만 개에 불과하다. 내년부터 2026년 3월 말까지 정부는 전국적으로 충전소를 2배 이상 늘린다는 방침을 확정했다. ‘PM E-Drive’는 전기차 확산 및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인센티브 지원책으로, 지난 2023년 10월 출범해 총 1조7천300억 원의 예산이 배정된 대형 프로젝트다.

이번 사업의 주관 기관은 인도 중공업부 산하 바라트 헤비 일렉트리컬스(BHEL)로, 충전소 위치 선정부터 전체 운영 전략까지 총괄한다. 연방정부, 공기업, 각 자치단체에도 설치 및 운영 권한이 권장됐다. 정부는 특히 사무소, 주거단지, 병원, 대학 등 정부 소유 건물 내 충전소 설치 시 인프라 및 장비 비용 전액 지원을 약속했다. 교통량이 특히 높은 철도역, 공항, 터미널 등에는 인프라비 80%, 장비비 70%까지 보조금이 지급된다. 도시 도로, 쇼핑몰 등 일반 지역도 인프라 비용 80% 혜택을 받게 된다.
이 같은 조치는 인도 내 친환경 신차 및 전기동력 모빌리티 시장 확대와 교통정책 혁신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업계는 “완성차, 충전 장비, 전력, 배터리 업체 등 관련 업계 전반의 중장기 성장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주요 외신도 인도 정부의 공격적 인프라 정책이 국제 친환경차 시장 내 경쟁 구도를 바꿀 수 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업계 관측통들은 "핵심은 정부 지원의 실효성과 충전소 확충 속도, 그리고 국내외 업체의 실질적 참여 여부"라며, "투자자들은 향후 인도의 인프라 정책 변화와 관련 산업의 실적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이라고 조언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발표가 인도 친환경 교통 생태계 조성과 아시아 자동차 시장 지형 변혁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국제사회는 향후 인도 EV 인프라 확장 과제의 실제적 진척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