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VIP 격노설 전달 부인”…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첫 특검 구속심사에 정치권 긴장
정치

“VIP 격노설 전달 부인”…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첫 특검 구속심사에 정치권 긴장

허준호 기자
입력

채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22일 서울중앙지법에서 특검이 청구한 첫 번째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받으면서 정치권과 군 핵심 인사의 책임공방에 불이 붙었다. 해병특검은 김 전 사령관이 ‘VIP 격노설’ 전달을 부인하고 증거인멸 우려까지 나오자 구속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했다.

 

이날 오전 김계환 전 사령관은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해 취재진의 ‘VIP 격노를 박정훈 대령에게 전달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답을 피한 채 심사 법정으로 향했다. 영장실질심사는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가 담당한다. 특검에선 이금규 특검보와 이정민 부부장검사 등이 참석해 구속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특검 측은 “2023년 7월 31일 김 전 사령관이 이른바 VIP 격노설을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알리지 않았다고 버티며, 증거인멸 가능성도 높다”며 구속영장 청구 배경을 밝혔다.

앞선 18일 특검은 김 전 사령관에게 모해위증과 국회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김 전 사령관은 지난해 7∼8월 채상병 순직 사건 초동 조사 당시 해병대 최고 지휘관으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초동조사 보고에 격노했다’는 발언을 직접적으로 전달한 장본인으로 지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그는 박정훈 대령의 폭로 이후 일관되게 ‘VIP 격노설을 전달한 적 없다’고 맞섰다.

 

특히 국회와 법정을 오가며 김계환 전 사령관은 “영웅심리로 해병대의 역사와 전통을 흔들어선 안 된다”고 박정훈 전 단장을 비판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이어왔다. 반면 박정훈 전 단장 측은 “대통령 격노설”이 명확히 전달됐다고 밝혀 양측 주장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최근 특검 조사에서도 김 전 사령관은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심사가 채상병 사건의 수사외압 실체와 윤석열 대통령의 소위 ‘VIP 격노’ 진실을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한편 순직해병특검 출범 이후 구속영장 청구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법원의 판단에 국내 정치권은 물론 군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계환 전 사령관의 구속 여부는 이날 오후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순직해병특검과 국방부, 야당 등은 이날 결과에 따라 추가 진상규명 및 책임규명 공방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계환전해병대사령관#순직해병특검#박정훈전해병대수사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