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관저이전 특혜 봐주기 의혹 수사”…민중기 특검, 감사원 자료 확보하며 수사 본격화
정치

“관저이전 특혜 봐주기 의혹 수사”…민중기 특검, 감사원 자료 확보하며 수사 본격화

신채원 기자
입력

관저이전 특혜 의혹을 둘러싸고 민중기 특별검사팀과 감사원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이 제기된 업체 21그램의 관저 공사 수주 배경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특검팀이 본격적인 자료 확보에 나서며 정치권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민중기 특별검사는 이날 오전 감사원에 검사와 수사관을 파견해 관저이전 특혜 감사자료와 관련한 문서, PC 파일 등을 확보했다. 특검팀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대통령실·관저 이전 감사’ 과정의 실태와 21그램을 비롯한 관련 업체의 수주 경위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계획이다. 이날 확보된 압수수색영장에 따르면, 감사원은 피의자가 아닌 참고인 신분으로 적시됐다.

특검팀의 이번 대응은 참여연대가 지난 2022년 10월 대통령실 이전 과정에서 예산 낭비와 특정 업체 특혜 의혹을 제기하며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한 데에서 출발했다. 감사원은 작년 9월, 21그램이 정식 계약 전 공사에 투입되고, 15개 무자격 업체에 하도급을 맡기는 등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사실을 지적했으나, 21그램 수주 배경 등 핵심 쟁점은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21그램은 김건희 여사가 과거 운영한 코바나컨텐츠의 전시회 후원사이자, 사무실 설계·시공까지 맡았던 업체다. 이 회사가 김 여사와의 친분을 내세워 대통령실 관저 증축 공사를 수주했다는 의혹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러나 대통령실 관저 이전 실무를 총괄한 김오진 전 국토교통부 차관은 “대통령직인수위, 경호처 등의 추천을 받아 후보를 추렸으며, 21그램을 누가 추천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진술했다.

 

정치권에서는 감사원이 21그램의 수주 경위를 적극적으로 조사하지 않고 '봐주기 감사'에 머문 것 아니냐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특검팀 관계자 역시 "감사원도 감사 내역에 한계가 있었던 만큼, 참고기관으로서 관련 자료 제출에 협조했다"고 전했다. 감사원 관계자도 "내부 비리 수사가 아니라 관저 이전 감사자료 제출이 목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특검은 이날 21그램 사무실과 대표 자택, 관여했던 다른 공사업체에 대해서도 동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앞서 특검팀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공천개입, 청탁 비리 등 김건희 여사 연루 주요 의혹에 대해 신병을 확보하며 수사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12일 자본시장법, 정치자금법,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를 적용해 김건희 여사의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김 여사는 현재 서울남부구치소에 수감돼 조사를 받고 있다.

 

정치권은 관저 공사 특혜 의혹에 대한 특검의 본격적인 압수수색 돌입을 놓고 다시 격칠한 공방을 예고했다. 향후 특검 수사 결과에 따라 대통령실과 여당은 큰 파장을 맞을 전망이어서, ‘관저 특혜’ 정국이 얼마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민중기특검#김건희#감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