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50% 관세 장기화 시 재정지원 불가피”…캐나다, 알루미늄 분쟁에 대응책 논의
국제

“50% 관세 장기화 시 재정지원 불가피”…캐나다, 알루미늄 분쟁에 대응책 논의

최동현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6일, 캐나다 오타와에서 미국(USA)의 알루미늄 수입에 대한 50% 고율 관세가 지속될 경우를 대비해 캐나다(Canada) 정부가 국내 대형 알루미늄 생산업체에 대한 재정 지원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대응 움직임은 양국 간 포괄적 무역협상 최종 기한(21일)을 앞두고 있어, 북미 자유무역 체제 및 해당 업계 종사자들에게 직접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는 최근 알루미늄을 포함한 양국 간 금속 무역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업계별 피해 최소화와 산업 보호 방안에 고심 중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캐나다알루미늄협회 진 시마르(Jean Simard) CEO는 6일(현지시각) 로이터 인터뷰에서 “재정 지원을 포함한 모든 옵션이 테이블에 올라와 있지만, 아직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며 “현재 기업들의 유동성 자체는 괜찮으나, 미국의 50% 관세가 장기화한다면 각 사 재무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캐나다 정부, 알루미늄업체 재정지원 방안 검토…미국 50% 관세 장기화 우려
캐나다 정부, 알루미늄업체 재정지원 방안 검토…미국 50% 관세 장기화 우려

이번 논의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지난 3월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4월 초 관세율을 50%로 추가 인상한 조치에 대한 대응 성격이다. 2023년 기준 캐나다산 알루미늄은 미국 전체 알루미늄 수입의 54%(94억달러), 철강은 23%를 차지할 정도로 공급 비중이 높아, 업계와 투자자들은 관세와 정부 대응이 산업과 시장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캐나다-미국 간 무역협상 마감 시한이 2주 앞으로 다가오면서, 국경을 넘나드는 중간재 및 완성품 가격은 물론 공급망 전반에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공식적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국내 산업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미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도 “캐나다 정부의 재정지원 논의는 양국 산업 정책 충돌이 한층 격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며 알루미늄 및 철강 업계의 불확실성을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이 단순히 양국 무역 현안에 그치지 않고,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글로벌 공급망 재편 논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오는 21일까지의 북미 무역협상 결과와 캐나다 정부의 재정지원 최종안이 어떠한 변곡점을 만들어낼지, 국제 사회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캐나다정부#알루미늄관세#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