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안전성 심각한 우려”…김민석 총리, 사고 원인 철저 조사 지시
한강 수상버스 멈춤 사고를 둘러싸고 안전성 논란이 정치권을 강타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6일 한강버스 운항 중단 사고와 관련해 사고 원인 규명 및 안전 대책 전반을 재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적으로 추진한 서울 수상교통 사업 한강버스가 도입 초기부터 안전 문제에 직면하면서, 정부와 서울시 간 책임 공방 조짐도 감지되고 있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서울시는 행정안전부와 협조해 한강버스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선박·선착장·운항 노선 등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라”고 주문했다. 이어 “한강의 얕은 수심 등 위험 요인과 대응 방안을 상세히 분석해 추가 조치하라”고 강조했다. 운항 도중 좌초, 침몰, 화재 등 돌발 사고 발생 시 모든 승객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대응 체계 구축 여부도 점검하라고 특별 지시했다.

이보다 앞서 전날 오후 8시 24분경, 잠실선착장 인근에서 한강버스가 수심이 얕은 강바닥에 걸려 멈추는 사고가 발생해 승객 82명이 구조됐다. 총리실은 “김 총리는 선착장 위치 선정과 운항 노선 결정 과정에서 한강의 지형을 충분히 검토했는지 여부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여권 인사를 중심으로 “졸속 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김민석 총리는 이미 지난 14일 한강버스 현장을 방문해 “안전 문제가 우려된다”며 현장 점검에 나섰다. 이에 따라 서울시와 행정안전부, 국무총리실이 합동으로 후속 조치에 착수하게 됐다.
김 총리는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점검 결과에 따라 한강버스 운항 중단 기간 연장 등 필요한 추가 방안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당분간 한강버스 안전성 검증과 제도 보완 논의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서울시와 중앙정부 간 책임 소재, 졸속 추진 의혹 등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으며, 정부는 향후 운항 재개 여부와 추가 대책 수립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