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 청탁 의혹 수사”…한학자 총재, 특검 소환 앞두고 심장 시술 입원
‘건진법사‧통일교 청탁 의혹’을 두고 정치권이 또 한 번 격렬한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통일교 한학자 총재가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소환 조사를 앞둔 가운데 심장 시술로 서울아산병원에서 입원 중인 사실이 4일 확인됐다. 출석 일정이 임박한 상황에서 한 총재의 신병 상태와 진술 여부가 정국의 새로운 불확실성으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법조계 등에 따르면 한학자 총재는 전날 서울아산병원 특실에 입원해 4일 심장 관련 시술을 마친 뒤 현재 병원에서 회복 중이다. 통상 심장 시술 뒤 특별한 합병증이 없을 경우 짧게는 하루, 길게는 이틀 만에 퇴원 수순을 밟는다. 그러나 한 총재 측은 “출석 여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특검 소환 조사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한 총재에게 오는 8일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할 것을 요구한 상태다. 이른바 ‘건진법사‧통일교 청탁 의혹’과 관련해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를 핵심으로 보고 있다. 구속기소된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씨가 2022년 4월부터 7월 사이,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의 목걸이와 샤넬백을 건네며 교단 현안을 청탁한 배경에 한 총재가 관여했다는 게 특검의 시각이다.
더불어 윤씨와 공모해 2022년 1월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에게 윤석열 정부의 통일교 지원을 기대하며 정치자금 1억원을 전달한 혐의도 함께 받고 있다. 특검 공소장에는 윤씨가 수차례 청탁 및 금품을 건넨 뒤에는 한학자 총재의 최종 승인이 있었다고 적시됐다. 특검팀은 “통일교의 대규모 프로젝트와 각종 행사에 정부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고 밝혔다.
반면 한학자 총재와 통일교 측은 혐의 일체를 부인하고 있다. 교단은 최근 “윤씨의 개인 일탈일 뿐, 교단 차원의 개입은 없었다”는 주장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한 총재 역시 “어떤 불법적인 정치적 청탁 및 금전 거래를 지시한 적이 없다”고 공개 반박한 바 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7월 18일 경기도 가평에 위치한 한 총재의 거처 ‘천원궁’과 서울 용산 한국본부 등 통일교 관련 시설 10여곳을 압수수색하며 강제 수사에 나섰다. 수사팀은 한학자 총재의 신병 회복 추이를 지켜본 뒤, 소환 조사를 재차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수사와 관련해 정치권은 한 총재의 입장과 특검 소환의 성사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치권 일부는 “사법 처리 과정이 실체적 진실 규명에 맞닿아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신병을 내세운 불출석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하는 분위기다. 한편 정부와 특검팀은 향후 한 총재 출석 상황에 따라 추가 압수수색이나 강제 소환 등 대응 카드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