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산업,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이재명 대통령, 투자·생태계 혁신 강조
방위산업 경쟁력과 미래 성장 동력을 두고 청와대와 관련 업계가 맞붙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1회 방위산업의 날 기념식에서 방위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와 산업 생태계 혁신을 강력히 주문하고 나섰다. “방위산업이 대한민국의 안보뿐 아니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구상에 따라 정치권과 업계 모두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분단국가로 여전히 전쟁이 진행 중이며 세계에서 가장 군사 밀도가 높은 위험한 나라”라며 방위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방위산업이 내수 중심으로 성장해왔지만 이제 우리 무기 체계가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고 수출국이 됐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정부도 큰 노력을 기울여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최근 업계에서는 대기업 중심 방위산업 구조에 대한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방위산업이 소수 대기업 중심이라는 지적이 있다”며 “많은 사람과 기업이 규모에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AI, 무인 로봇 등 첨단 무기 체계 개발과 발전을 통해 K-방산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 간 협력 확대의 필요성도 언급됐다. 이 대통령은 “방위산업의 특성상 정부 간 협력이 결정적 역할을 한다. 각국과의 안보 협력을 활발히 추진해 기업에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현장 목소리를 듣고 현안 해결에 정부가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부의 투자 확대와 생태계 개선 약속이 실제로 중소기업 참여로 이어질지 견제의 시선을 보냈다. 반면 여당은 “방위산업 구조 전환과 혁신을 위한 대통령의 의지가 재확인됐다”며 적극 지지의 뜻을 밝혔다. 전문가들 역시 “AI·무인 무기 경쟁력 강화는 국내 산업발전뿐 아니라 수출 다변화에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지적했다.
이번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을 계기로 정부와 업계가 방위산업 생태계 다변화와 첨단 기술 투자를 둘러싼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 관련 기업들의 혁신 생태계 참여 확대와 신기술 지원책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