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합동 비상훈련 돌입”…부산시, 2025년 을지연습으로 비상 대비 태세 강화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된 가운데, 부산시와 관련 유관기관들이 전국적 비상 대비 태세 확립에 나섰다. 전시 및 비상사태 대응 체계 강화를 목표로 한 ‘2025년 을지연습’이 8월 18일부터 21일까지 부산시 전역에서 실시된다. 14일 오전 부산시청에서 '2025 을지연습 통합방위협의회'를 시작으로 공식 일정이 본격화됐다.
을지연습은 전시나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발생 시, 군사작전 지원과 정부 기능 유지, 국민 생활 안정 등 범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전국 모든 행정기관, 공공기관, 단체가 참여하는 비상훈련이다. 부산시는 올해 민·관·군·경·소방이 합동으로 전시 의사결정 절차, 도상 훈련, 민방위 대피훈련, 유관기관 연계 합동훈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시 관계자는 "전 공무원 비상소집을 비롯해 충무계획의 실효성까지 면밀하게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훈련의 핵심은 실전과 같은 환경에서 위기관리 역량을 극대화하고,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로 비상시 대응력을 높이는 데 있다.

특히 20일 오후 2시에는 공습 상황을 가정한 민방위훈련이 전개된다. 시는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별도 차량 이동 통제가 없는 방식으로 훈련을 치러, 시민 체감도를 높이는 한편 실질적 참여를 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같은 시각에는 부산시 12개 소방서에서 소방차·구급차 ‘길 터주기 훈련’이 동시 실시돼, 긴급차량의 신속한 통행이 실제 어떻게 보장되는지를 현장에서 점검한다.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반복적 비상훈련이 시민 안전 의식 고취와 정부·지자체의 위기관리 능력 강화라는 긍정적 취지에 공감하는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실제 위기 대응과 연결되는 현장성·효율성 제고를 위한 훈련방식 개선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번 을지연습 성과를 평가한 뒤, 추가 보완점을 반영해 향후 비상 대비 매뉴얼을 더욱 현실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전국적으로 병행되는 을지연습의 결과에 따라 관련 정책과 시민안전 제도 역시 한층 더 세밀한 검증을 거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