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파운드리 분할이 불가피”…WSJ, 인텔 구조 개선 압박에 엔비디아 투자 ‘불충분’ 지적
국제

“파운드리 분할이 불가피”…WSJ, 인텔 구조 개선 압박에 엔비디아 투자 ‘불충분’ 지적

전민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18일, 미국(USA)에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인텔(Intel)의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사업 분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엔비디아(Nvidia)의 50억달러 투자 유치에도 불구하고, 경쟁적 구조 개선 없이는 인텔의 장기적 부활이 어렵다는 진단이다. 이번 논평은 글로벌 반도체 산업 구도 재편 논의에 중요한 신호를 던지고 있다.

 

WSJ는 “엔비디아 투자로 현금 흐름이 강화된 건 사실이지만, 설계와 제조를 통합한 현재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인텔은 2021년 파운드리 사업부를 신설하며 대만(台灣, Taiwan)의 TSMC와 한국(Korea)의 삼성전자와 경쟁을 확대했으나, 올해 역시 대규모 적자와 외부 고객 유치 난항에 직면했다.

‘인텔’ 파운드리 사업 분할 요구…WSJ, 엔비디아 투자만으론 구조적 개선 부족
‘인텔’ 파운드리 사업 분할 요구…WSJ, 엔비디아 투자만으론 구조적 개선 부족

양사의 협력을 통해 인텔은 인공지능(AI) 중심 칩 주도권 확보와 추가 자금 조달에 유리한 고지를 점했으나, 실질적인 공동 개발 단계나 파운드리 성장 효과에 대해 양측 모두 명확한 방침을 내놓지 않은 상황이다.

 

WSJ는 인텔이 칩 설계와 제조 부문을 분리할 경우, 엔비디아나 퀄컴 등 글로벌 설계 기업의 주문 확대가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데이터센터 및 PC용 CPU 공동 개발 뒤 별도 생산선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구조가 열리는 셈이다. 특히 미 연방정부가 전략적 필요에 따라 인텔 지분 약 10%를 보유 중인 점을 들어, 사업 분할 시 각 투자자가 설계 또는 제조 부문에 선택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된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는 인텔의 경쟁력이 설계보다는 첨단 칩 제조 역량에 있다는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 공급망 자립과 미국 내 제조 생태계 강화라는 국가안보 우선순위와 맞물려, 파운드리의 독립 경영 필연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다만 현 시점에서 인텔의 누적 적자와 지속적 자금 조달 부담, 파운드리 분할 단계의 현실적 난점도 관건으로 꼽힌다. WSJ는 "공장의 경쟁력 회복과 자체 경영권 확보가 장기적 생존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엔비디아 역시 인텔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배경에 대해 “AI 칩 주도권 확보 경쟁에서 인텔의 약화된 위상을 의식한 전략”으로 풀이했다.

 

뉴욕타임스와 파이낸셜타임스 등 주요 외신도 인텔의 구조 전환 가능성, 엔비디아의 투자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글로벌 반도체 증시와 협력 구도의 변동성을 주목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엔비디아 등 전략적 투자자 유치가 단기 숨통을 틔울 수는 있지만, 근본적 경쟁구도 변화와 생산능력 혁신 없이는 인텔의 재도약이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향후 인텔의 구조 분할 및 파운드리 사업 전환이 글로벌 반도체 산업 질서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업계와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논의가 구체적 이행 단계로 이어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인텔#엔비디아#w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