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수련환경 현실화”…대전협·대한의학회, 교육 체계 혁신 협의체 출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이 의료계의 최대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한전공의협의회와 대한의학회가 전공의 수련 중단, 신규 전문의 급감, 지도전문의 연쇄 사직 등 현장의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공동 협의체를 출범하기로 하면서 전공의 교육체계 개혁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업계는 이번 협의체 구성을 “전공의 수련 내실화와 의료 인력 양성체계 혁신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대한의학회와 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1일 간담회를 열고, 전공의 수련의 연속성 회복과 국민 의료 공백 최소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에 합의했다. 특히 대전협이 제시한 필수의료 정책 논의 협의체 구성, 수련환경 개선, 의료사고 법적 부담 완화 등 3대 대정부 요구안이 이번 논의의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양측은 “국민의 건강권을 책임지는 관점에서, 제도 혁신과 전문의 교육의 질적 향상에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의료계의 전공의 수련 환경은 최근 현장 갈등과 정책 혼선으로 연속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신규 전문의 배출이 감소하고, 사직자가 급증하면서 숙련 의료 인력의 공백 우려도 커지고 있다. 기존에는 각 수련병원별로 교육 체계와 기준이 분산돼 있어 표준화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특히 “지도의 사직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서 기존 틀을 넘어선 교육 인프라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현장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한의학회는 ‘전공의 수련교육원’ 설립 필요성을 언급하며, 표준화된 교육 시스템과 제도 개선을 통해 수련교육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수련교육원은 표준화된 평가체계와 커리큘럼을 마련해, 전공의 교육의 신뢰성과 전문성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미국 ACGME(Graduate Medical Education)과 유럽의 UEMS(의학전문교육기관)의 통합 교육 시스템과의 격차 해소를 목표로 한다.
해외 주요국에서는 이미 전공의 수련교육의 중앙집중화 및 인증 제도가 정착돼 의료 인력 양성의 체계화가 이뤄졌다. 반면 국내에서는 실질적 중앙 관리기관이 미비해, 제도 표준화 지연과 평가 신뢰성 논란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교육모델 도입과 국내 실정에 맞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한편 의료사고에 대한 전공의의 법적 부담 완화, 수련 연속성 보장 등도 지속 협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보건복지부와 의료계가 합의점을 찾지 못해, 산발적 제도 도입과 현장 혼란이 반복된 상황이다.
의료계는 실무 협의체 구성을 통해 현장의 요구가 빠르고 투명하게 제도에 반영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향후 정부와 의료계,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전공의 수련 체계 마련이 의료산업 변혁의 주요 관건으로 꼽힌다. 산업계 관계자는 “기술과 인력, 제도의 균형적 발전이 의료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고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