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ROCK2 억제제 임상 진입”…제노스코, 폐섬유증 신약 도전장 → 미국·글로벌 신약시장 주목
IT/바이오

“ROCK2 억제제 임상 진입”…제노스코, 폐섬유증 신약 도전장 → 미국·글로벌 신약시장 주목

윤지안 기자
입력

ROCK2 효소 억제라는 새로운 방식의 신약 후보물질이 폐섬유증 치료 영역에 진입한다. 제노스코가 개발 중인 ‘GNS-3545’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1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신청했다. 신약 개발 벤처 오스코텍의 자회사인 제노스코는 지난달 29일 해당 후보물질의 안전성과 내약성 평가를 위한 초기 임상연구 계획을 제출했다고 공식 밝혔다. 이번 IND 신청이 통과될 경우, 연내 첫 임상에 착수한다는 전략이다. 업계는 제노스코의 도전을 ‘국내 신약개발 경쟁의 새 흐름’이자, 직접 상업화 도전이 본격화되는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GNS-3545는 폐조직이 점차 굳어지는 특발성 폐섬유증(IPF)의 병리적 변화를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차세대 치료제 후보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기존 치료제와 달리, 병변 유발 핵심 단백질들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신약기전이 강점이다. 제노스코는 동물모델 전임상에서 질병 관련 유전자 발현을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효능을 확인, 조직 손상 회복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질병 진행만 지연시키던 기존 약물 한계를 넘어, 근본 치료 개념에 한 발 더 다가섰다”는 것이 회사 측 평가다.

폐섬유증은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만성 난치질환으로, 신약 수요가 지속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등을 중심으로 혁신 신약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는 추세다. 동종 계열 치료제가 적은 ROCK2 저해제 분야는 기술적 진입장벽도 높다. 오스코텍-제노스코는 과거 공동 개발한 폐암치료제 ‘렉라자’의 기술이전 성과 후, 독자 신약 개발 역량을 확보해 왔다. 제노스코는 “GNS-3545 임상은 회사 R&D 경쟁력의 이정표이자, 10년 내 5개 신약 허가·1개 직접 상업화 청사진의 실질적 시험대”라고 강조했다.

 

미국 FDA의 IND 심사 결과와 더불어, 안전성 입증과 후속 임상 진행이 과제다. 현재 업계는 글로벌 신약개발 시장에서 국산 혁신 후보물질의 실질 상용화 시점을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는 “이러한 혁신적 작용기전 기반 신약의 등장이 중증 질환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신약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진출과 직접 상업화 전략이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 혁신과 임상 성과, 산업 구조 개편이 동반돼야 새로운 성장 동력이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제노스코#오스코텍#gns-3545